서울 마을버스도 멈추나…'시 재정지원' 이견에 운행중단 검토

마을버스조합 "20일까지 서울시 답 없으면 22일 운행중단 결정"
윤보람

입력 : 2025.05.16 18:33:43


서울 공영차고지에 주차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 시내버스가 파업을 예고한 데 이어 마을버스도 운행중단을 검토하고 있다.

재정지원 규모를 둘러싸고 마을버스 사업자 측과 서울시 간 협의가 난항을 겪는 탓이다.

서울시 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16일 오후 영등포구 대림동 조합 회의실에서 이사회를 열어 '재정지원기준액 신속 결정 및 현실화 등 촉구 서한문'을 의결했다.

조합 관계자는 "서한문을 서울시에 전달하면서 오는 20일까지 답변을 요구했다"며 "답이 없으면 22일 임시총회를 열어 파업(운행중단) 또는 준법운행 등의 대응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내버스와 달리 서울시가 손실분을 다 보전해주지도 않는데, 버스가 다닐수록 손해를 보는 현 구조에서는 더 이상 정상적인 운행이 어렵다는 게 저희 입장"이라고 말했다.

조합의 운행중단은 마을버스 기사들이 아닌 운송업체가 하는 것으로, 기사들이 속한 노동조합이 진행하는 통상의 파업과는 성격이 다르며 노사 간 임금협상과도 별개다.

서울 마을버스 운수업체는 140곳이다.

조합은 현재 서울시와 재정지원기준액 책정을 위한 협의를 하고 있다.

재정지원기준액은 운송원가 산정의 근간이 된다.

운송원가는 조례상 연초에 책정돼야 하나 5월 현재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조합은 안전운행과 배차간격 유지를 이유로 올해 재정지원기준액 54만원을 시에 요청했다.

지난해 기준액은 약 48만원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승객 감소에 따른 타격 이후 회복이 더딘 데다 열악한 처우로 기사 수가 부족해 재정 지원이 더 필요하다는 것이 조합의 주장이다.

그러나 시는 조례상 정해진 예산 범위에서 기준액을 책정할 수 있다면서 약 49만원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시는 업계 정상화를 위한 인센티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조합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조합 측의 제안을 그대로 반영하려면 시는 추경을 통해 3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는 마을버스 운영 안정화를 위해 올해 지원 예산을 3년 만에 증액했다.

2022년 495억원, 2023년 455억원, 2024년 361억원이던 재정지원금은 올해는 415억원이다.

bryoo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7 06:2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