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5.15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5/14(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숨고르기 장세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등락이 엇갈림. 엔비디아(+4.16%)가 사우디아라비아에 초고성능 칩 1만8,000개를 수출할 것이라는 소식에 연일 강세를 이어가며 시가총액 2위에 올라섰고, AMD(+4.68%)도 사우디 정부 지원을 받는 휴메인과 전략적 협력 기대감 지속 속 6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며 큰 폭 상승하는 등 반도체 테마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의 사우디 순방길에 동행해 사우디에서 로보택시 사업 구상을 내놓고, AI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를 공개한 테슬라(+4.07%)가 연일 강세를 이어간 가운데, 전기차 테마가 상승했고,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사 오클로(+15.55%)가 미국 아이다호 국립연구소 부지에 첫 소형 모듈형 원자로 건설을 위한 시축 작업을 완료했다는 소식에 급등하는 등 원자력 테마도 대체로 상승. 이 외 뱅크오브아메리카(+1.04%) 등 은행, 리게티 컴퓨팅(+17.99%) 등 양자컴퓨팅 테마 등이 상승.
반면, 트럼프 행정부, 약값 인하 우려 지속 속 화이자(-3.72%), 존슨앤드존슨(-1.40%) 등 제약/바이오 테마가 하락했고, 금 가격 하락 등에 뉴몬트(-2.82%) 등 금(金) 테마가 하락. 유가 하락 속 엑슨 모빌(-0.90%) 등 정유, 다우(-1.95%) 등 화학 테마가 하락. 이 외 애플(-0.28%) 등 모바일, 마라 홀딩스(-3.05%) 등 가상화폐, 메트라이프(-1.49%) 등 보험, 발레(-0.91%) 등 광산 등의 테마가 하락.
반면, 트럼프 행정부, 약값 인하 우려 지속 속 화이자(-3.72%), 존슨앤드존슨(-1.40%) 등 제약/바이오 테마가 하락했고, 금 가격 하락 등에 뉴몬트(-2.82%) 등 금(金) 테마가 하락. 유가 하락 속 엑슨 모빌(-0.90%) 등 정유, 다우(-1.95%) 등 화학 테마가 하락. 이 외 애플(-0.28%) 등 모바일, 마라 홀딩스(-3.05%) 등 가상화폐, 메트라이프(-1.49%) 등 보험, 발레(-0.91%) 등 광산 등의 테마가 하락.
관련 테마분석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5-14 엔비디아(+5.63%) 급등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15%) 급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
☞2025-05-13 美/中 무역 합의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7.04%) 급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
☞2025-05-12 반도체 수출액 증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 D램 가격 인상 및 美/中 무역 협상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삼성전자, DB하이텍, SK하이닉스) |

제약업체
인간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의약품)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업체. 일반의약품은 경기변동과 계절적 요인에 다소 영향을 받는 편이지만, 전문의약품은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 한편, 제약업체는 제품 개발에서 비임상, 임상시험, 인허가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국가에서 엄격히 규제받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5-13 美 약가 인하 행정명령, 국내 제약사 영향 제한적 분석 등에 상승(주도주 : 삼천당제약, 텔콘RF제약, SK바이오팜, 셀비온, 대화제약) |
☞2025-05-12 트럼프, 의약품 가격 최대 80% 인하 행정명령 서명 예고에 하락 |
☞2025-05-09 美 의약품 관세 우려 지속 등에 하락 |

정유
원유 수출입, 운송 및 저장과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생산하는 종목군. |
- 히스토리
☞2025-04-10 국제유가 폭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SK이노베이션, S-Oil, GS) |
☞2025-04-07 국제유가 폭락 영향 등에 하락 |
☞2025-04-02 국제유가 하락 영향 등에 하락 |

원자력발전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원자력 육성정책을 발표하면서 생성된 테마. 전세계적인 에너지 수요 증가와 친환경 정책, 경제적인 부분 등을 감안하여 원자력발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최근 해외 국가들이 원자력발전 사업 확대로 정책 기조를 바꾸며 국내 업체들의 해외 원자력발전소 수주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특히, 체코 두코바니 원전 프로젝트 계약,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 등장 및 AI 데이터센터 전력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에너지 부각 등에 따라 원자력발전 테마가 재부각되는 모습. |
- 히스토리
☞2025-05-14 한수원, 차세대 경수로형 원자로 노형과 설계 방향 확립 개념 개발 착수 소식에 상승(주도주 : 금양그린파워, 태웅, 두산에너빌리티) |
☞2025-05-12 美 원전 안전규정 전면개정 추진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DL이앤씨, LS ELECTRIC) |
☞2025-05-07 체코 법원,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최종 계약 서명 중지 가처분 결정 등에 하락 |

전기차
전기자동차는 화석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로 저렴한 유지비와 무공해, 무소음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기존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형 친환경차로 손꼽히고 있음.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 추세와 더불어 관련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를 퍼스트무버로 관련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
- 히스토리
☞2025-05-13 美 공화당, 전기차 세액공제 2027년 조기 종료 추진 소식 등에 하락 |
☞2025-05-12 내달 로보택시 출시 앞두고 테슬라(+4.72%) 주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솔루스첨단소재, 엘앤에프, 알멕, 엔켐, 엠에스오토텍) |
☞2025-05-09 국내 배터리 3사 비(非)중국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점유율 하락 소식 등에 하락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