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부터 지자체까지'…잇따르는 공공기관 사칭 주의보

공공기관 사칭한 사기 행위·과장 광고 기승…경찰 수사 나서
류호준

입력 : 2025.05.05 08:00:04
(강릉=연합뉴스) 류호준 기자 = "공공기관 사칭 조심하세요."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한 사기 행위 및 허위·과장 광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이러한 사기 행위와 광고가 더욱 기승을 부리며 공공기관에서는 주의를 당부했다.

지자체 사칭 '무료 사진' 주의
[속초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지자체 사칭 '무료 사진' 주의…대부분 민간 업체 과장 광고 5일 속초시에 따르면 '속초시민만 가능', '속초시민을 위한 무료 행사', '가족 화합 무료 지원', '무료 가족사진 이벤트 당첨' 등의 문구를 포함한 광고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다수 게시되고 있다.

이들 광고는 시 공식 행사처럼 보이도록 꾸며졌지만, 실제로는 민간업체가 운영하는 유료 서비스다.

일부 시민들은 시 지원 사업으로 오인해 업체를 방문했다가 고액의 추가 결제를 강요받는 등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속초시민 A씨는 "동창회 카페 배너 광고를 통해 비슷한 광고를 접한 뒤 방문 직전까지 갔었다"며 "꺼림칙한 마음에 시에 문의해보니 해당 사업은 한 적이 없다고 해 철회했다"고 말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사진 촬영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2022년 312건, 2023년 329건, 지난해 472건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피해 금액이 확인된 172건을 분석해보면 무료 사진 촬영을 내세웠음에도 50만원 이상 고액 계약을 체결한 사례가 47.1%를 차지했고, 평균 계약 금액이 75만원으로 집계됐다.

속초시 관계자는 "최근 SNS 과장광고와 소상공인 대상 공공기관 사칭 범죄 등이 확산하고 있다"며 "속초시에서 진행하는 행사와 이벤트는 속초시 공식 SNS로 직접 홍보하고 있으니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교정당국 사칭에 쓰인 위조문서
[강릉교도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물품 구매하려고 연락했는데요'…교정 당국 사칭도 등장 교정 당국을 사칭한 피해도 확산,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강릉교도소에 따르면 최근 교정 공무원(교도관)으로 속여 말해 건축자재나 식자재 등 물품 납품을 요청한 뒤 특정 업체에 대금을 대신 납부해달라고 요구하는 수법의 사기 피해 사례가 강릉 등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위조 공문서, 명함, 사업자등록증 등을 제시해 신뢰를 얻고, 물품 납품 또는 대리 결제를 요구하는 수법을 쓰고 있다.

대부분 업체가 사기 의심 정황을 인지하고 교정기관에 직접 확인해 미수에 그쳤으나, 최근 강릉지역 한 유통업체는 이러한 수법에 속아 거액의 금전적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강릉교도소는 유사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관련 기관과 정보를 공유하고, 필요한 경우 수사기관에 고발 조치하는 등 적극 대응하고 있다.

주기남 강릉교도소장은 "교정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물품 대금을 선결제로 입금하거나 제3의 업체에 대납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발생한 사기 사례는 공문서와 사업자등록증까지 정교하게 위조한 조직적인 범죄이므로, 의심스러운 주문이나 서류를 접수할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에 확인해야 한다"며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수사기관에 신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정당국 사칭에 쓰인 위조문서
[강릉교도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ryu@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5 13:4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