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는] (40)원전시장, 불모지 넘어 블루오션?
유현민
입력 : 2025.05.05 07:00:05
입력 : 2025.05.05 07:00:05

[한전KPS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아프리카 대륙 54개국(유엔 회원국 기준) 가운데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는 나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하나밖에 없다.
남아공은 케이프타운에서 북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에 쿠벅 원전 1·2호기 등 두 기(1천800㎿)를 운영하고 있다.
1984년 운영을 시작한 쿠벅 원전은 남아공 전력 공급의 약 6%를 담당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원전 운영 국가가 적은 이유 중 하나가 높은 초기 비용이다.
원전을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초기 투자와 장기적인 유지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프리카에는 경제적 여건이 열악해 이런 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국가가 많다.
원전에 필요한 높은 수준의 기술과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아프리카 국가에 부족한 점도 또 다른 원인이다.
이 밖에 태양광, 풍력 등 상대적으로 초기 비용이 적게 드는 재생 에너지원이 풍부한 아프리카의 기후 조건도 원전 도입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가 전력망 확충과 함께 재생 에너지 개발에 주력하는 게 사실이다.
그런데도 아프리카의 일부 국가들은 원자력 발전을 장기적인 에너지 전략의 핵심 요소로 보고 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원전 도입을 검토·추진 중이다.
먼저 이집트에 러시아의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이 건설 중인 엘다바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총 4기의 원자로를 갖춘 4천800㎿급 원전으로 2028년 첫 번째 원자로 가동이 목표다.
한국수력원자력도 일부 원전 부속건물 건설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아프리카 유일의 원전국 남아공도 2024년 쿠벅 원전 1호기의 운영 면허를 2044년까지 20년 연장했다.
또 이르면 2032년 가동을 목표로 2천500㎿급 원전을 추가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케냐 역시 2034년까지 1천㎿급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다.
나이지리아는 전력 부족을 해결하고 산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4천㎿급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2030년까지 첫 원전 건설을 목표로 준비 중인 가나는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도 추진 중이다.
르완다도 SMR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 밖에 모로코, 우간다, 알제리, 수단, 튀니지, 잠비아 등도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규모 전력 공급이 가능한 원전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언젠가는 아프리카 대륙이 원자력 발전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를 수도 있을 전망이다.
hyunmin623@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증평 장뜰들노래축제 내달 7∼8일 개최
-
2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한 작은 위로…신규 창업시 단말기 구입 여기서 하면 소액 지원금
-
3
[게시판] 서울시립과학관, 가족이 함께하는 실험 프로그램 운영
-
4
트럼프, 해외제작 영화에 100% 관세…"할리우드 다시 위대하게"(종합)
-
5
[게시판] 한경협, 제1회 기업가정신발전소 토크 라이브
-
6
5월 엔지니어상에 현대차 김동진·퀄리타스반도체 성창경
-
7
"호주에 호위함 팔려는 日, 美에 협조 요청"
-
8
군산해경, 어획물 창고 크기 속인 중국어선 2척 나포
-
9
[부고] 황윤언(㈜효성 대표이사)씨 모친상
-
10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명"(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