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신항 '원포트' 운영 결정에 군산 '환영'·김제 '아쉬움'(종합)

군산시의회 "국가 항만정책 일관성·정합성 지킨 중대한 판단"
김진방

입력 : 2025.05.02 19:08:07


새만금 신항만 공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김제·군산=연합뉴스) 백도인 김진방 기자 = 새만금의 핵심 시설인 새만금신항 운영 방식이 군산항과 통합 관리하는 '원포트'(One-Port)로 결정된 데 대해 전북 군산시와 김제시가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는 이날 열린 제131차 중앙항만정책심의회에서 군산항과 오는 2026년 개항하는 새만금신항을 국가관리무역항인 '새만금항'으로 통합해 운영한다고 결정했다.

군산시는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해수부가 새만금신항을 원포트로 지정해야 한다는 군산시의 의견에 손을 들어준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어 "군산항과 새만금신항이 하나의 무역항으로 지정됨에 따라 항만기본계획을 통합 수립해 적정한 시설 수요 예측과 항만 기능 재조정이 가능하게 됐다"며 "항만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해 물동량 유치 경쟁을 방지하고, 항만별 특화 방안을 수립해 신규 물동량 유치로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군산시의회도 이날 성명에서 "이번 결정은 단순한 항만 운영 방식의 조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가 항만정책의 일관성과 정합성을 지켜낸 중대한 판단"이라며 "강력한 하나의 무역항, 하나의 물류 전략이 지역과 도민 모두의 실익을 지키는 길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새만금신항은 지리적·기능적으로 군산항과 긴밀히 연결돼 있고, 군산시 해양관할구역 내에 위치한 명백한 군산의 확장 항만"이라며 "이번 원포트 지정은 두 항만의 법적·행정적 관계를 명확히 하고, 전북 항만 전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매우 의미 있는 조치"라고 강조했다.

김제시는 새만금신항이 국가관리무역항으로 지정된 데 대해 환영하면서도 그동안 요구했던 '투포트'(Two-Port)가 수용되지 않은 것은 아쉽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김제시는 "새만금신항의 독립성과 전략적 기능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전북을 대표하는 수출입 거점항구로서 위상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새만금신항이 독립된 국가관리무역항으로 지정되지 못하면서 전북권 내 2개의 무역항을 확보하지 못한 건 아쉬운 대목"이라며 "기능과 목적이 다른 데도 별도의 무역항으로 지정되지 않은 것은 국내 항만 균형 발전의 기회를 외면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새만금신항은 군산항과 달리 새만금 산업단지와 자유무역지구 등 내부 개발지역의 물류 수요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해상 물류거점"이라면서 "전북도와 군산시가 이런 본질적 차이를 무시하고 원포트를 요구한 것은 전북 전체보다는 지역의 이해만 생각한 것"이라고도 비판했다.

내년에 개항하는 새만금신항은 대형부두(5만t급) 10선석 규모의 해양관광·레저기능 등을 갖춘 종합항만으로, 1단계로 2035년까지 6선석을, 2단계로 2045년까지 4선석을 추가로 건설할 방침이다.

앞서 군산시는 기존 군산항과 새만금신항을 통합 관리하는 원포트를, 김제시는 새만금신항을 신규 항만으로 지정하는 투포트를 요구하며 갈등을 빚어 왔다.

china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3 08:1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