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NDC도 못맞출 판인데…기후단체 “2035 NDC 61% 가능”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입력 : 2025.04.22 15:18:00
기후솔루션·美메릴랜드대 분석
신재생에너지 비중 65% 제시
2023년 발전 비중 9.6% 불과
“부지·송전망 문제 감안 안 해”


[연합뉴스]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60% 넘게 줄일 수 있다는 기후단체의 주장이 나온 가운데 이같은 주장의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18년 대비 40%로 설정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조차 달성이 난망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이란 비판이다.

22일 기후솔루션은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글로벌 지속 가능성 센터(CGS)와 함께 한국의 2035 NDC 감축 경로를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박지혜·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개최한 ‘실현가능한 2035 NDC를 위한 국제감축과 CCS 평가 및 제언’ 토론회에서 소개됐다.

보고서는 한국이 국제감축 활용 없이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61% 감축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발전·산업·수송 부문 감축 노력을 통해 이같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봤다.

우선 발전 부문에서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47%까지 올라와야 한다고 제시했다. 2035년까지는 이 비중을 65%까지 끌어올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신 석탄 발전 비중은 2035년까지 1%로, 가스 발전 비중은 14%로 줄여야 한다고 했다.

산업 부문에서는 철강 고로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고 전기로를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석유화학 부문에서도 바이오 나프타를 원료로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수송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차보다 전기차, 수소차 보급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하지만 이같은 분석이 실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비용 등 실현 가능성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9.6%에 불과하다. 석탄 발전 비중은 31.4%, 가스 발전 비중은 26.8%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7년 만에 재생에너지 비중을 절반 수준까지 끌어올리려면 상당한 비용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현재 태양광은 부지가 부족한데다가 송배전망 포화로 이미 구축된 발전소도 가동을 못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24시간 전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려면 에너지저장장치(ESS)도 설치해야 하는데, 비용이 몇백조원에 달해서 실제로는 불가능한 시나리오”라고 평가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2 18:2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