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정책에 따른 국내기업 실적저하 폭은 제한적”

최종일 매경닷컴 기자(choi.jongil@mk.co.kr)

입력 : 2025.04.17 08:39:19
상호관세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투자증권은 17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매우 혼란스럽지만 국내기업의 실적저하 폭은 우려보다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관세정책의 강도 약화뿐 아니라 타격이 예상되는 국내기업은 트럼프의 관세완화조치에 편승해 관세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해서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날 ‘트럼프 관세와 중국의 강경대응’ 보고서를 내고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반도체 및 IT제품 등 제조업체의 영향을 적을 것으로 봤다. 현재 불확실성은 있지만 중국의 강경대응이 효과를 보면서 관세정책의 강도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이에 따라 재무여력이 양호한 우량 기업의 경우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투자증권은 향후 관세정책 및 관세협상 전개방향을 유추, 미국과 교역하는 국가라면 최소한 10% 관세는 내야 한다고 봤다. 미국이 무역적자를 보고 있는 57개 국가에 대해서 기본관세에 상호관세를 추가했고, 미국 채권시장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자 오는 7월 8일까지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도 협상결과에 따라 예고된 상호관세 25%보다는 낮고 기본관세 10%보다는 높은 수준의 관세율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같은 트럼프의 관세정책에서 중요한 고려 요소 중 하나는 미국기업 보호라고 설명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굉장히 혼란스럽고 변동성이 심했던 이유 중 하나로 미국기업 보호 차원에서 관세정책이 자주 바뀐게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마약관세, 기본관세, 상호관세, 품목별 관세로 구성되는데 이 중 품목별 관세가 미국기업 보호 또는 전략산업 육성 목적으로 부과되는 관세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관건은 중국과 유럽연합(EU) 등 미국에 필적할 만한 규모의 국가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에 순응할 것이냐는 문제라고 짚었다. 중국이 미국의 마약관세 및 상호관세 부과조치에 맞대응하면서 양국은 교역이 불가능한 수준인 145%와 125% 관세를 서로 부과한 상태여서다. 하지만 정치적 부담 등으로 상당기간 협상 테이블이 마련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강경대응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은 예고한 수준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9 10:3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