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입력 : 2025.04.14 11:15:56
제목 :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아이씨티케이 (456010) | 양자내성암호 보안 솔루션 3종 신규 출시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랜 기간 기존의 암호체계를 사용해 오던 기업들의 빠른 양자내성암호화(PQC) 전환을 돕는 솔루션 3종을 신규 출시했다고 밝힘. 이번에 출시한 PQC 보안 솔루션은 키 관리 시스템인 'PQC KMS', 디지털 인증서 서비스 'PQC CA', 'PQC 라이브러리'까지 총 3종으로, 기존 시스템과 간편하게 통합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표준에 기반한 PQC 환경으로의 손쉬운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임. ▷이와 관련, 이정원 동사 대표이사는 "양자컴퓨터의 시대에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누구나 양자 내성 암호화에 접근 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보안 인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기업들도 손쉬운 PQC 전환을 할 수 있도록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했다"고 밝힘. | |
메디아나 (041920) | 환자감시장치 등 유럽 CE MDR 인증 획득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 Device, PMD) 전 모델과 중앙환자감시시스템(Central Monitoring System, CMS)이 유럽 CE MDR(Medical Device Regulation)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번 인증을 통해 동사의 PMD와 CMS는 EU 27개국은 물론, 영국, 터키, 유럽경제지역(EEA), 스위스 등 유럽 전역에서 공식 판매가 가능하게 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강동원 사장은 "이미 국내 최초로 CE MDR 인증을 받은 AED 제품을 통해 유럽 시장에서 성과를 거뒀다"며 "이번 환자감시장치 등 추가 인증을 계기로 유럽 시장 내 고객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며, 추후 유럽 응급의료 시장 진입을 목표로 고급형 심장충격기(Monitor/Defibrillator) CE MDR 인증도 추진 중"이라고 밝힘. | |
비아트론 (141000)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
▷지난 11일 장 마감 후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 간:2025-04-11~2026-04-10, 대신증권(DAISHIN Securities Co., Ltd)) 공시. | |
크리스탈신소재 (900250) | 차세대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 액침냉각 소재 기술 소개 예정 소식 속 강세 |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오는 22일 본사에서 'AI 물결 속의 신소재 과학기술 기업의 산업 전환 및 고도화 성과 발표회'를 개최한다고 밝힘. 주요 주제는 '재료에서 계산력까지: AI 인프라의 근본적인 혁신' 및 'AI 신소재 기술 연구개발 실험실'이며, 기술 연구 개발과 제품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언급. '재료에서 계산력까지: AI 인프라의 근본적인 혁신'에서는 기존 공기 냉각 방식보다 수십 배 효율 향상을 달성한 차세대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AIDC) 액침냉각 소재 기술이 소개된다고 밝힘. |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044990) | 45.54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강세 |
▷지난 11일 장 마감 후 보통주 300,000주(45.54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4-12~2025-07-11) 공시. | |
코어라인소프트 (384470) | 中 수하이와 AI 기반 플랫폼 확장 등 MOU 체결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현지 관계사 '수하이(Suhai)'와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 확장 및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MOU는 유럽·북미와 함께 아시아 시장을 글로벌 진출의 3대 축으로 삼고, 아시아 지역 확장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AI 기술 고도화, 신제품 공동 연구개발, 임상 및 사업적 시너지 창출을 위한 전주기적 협력에 나설 예정. ▷이와 관련, 김진국 대 표는 "중국은 폐질환 환자 수 기준 세계 최대 시장으로, 특히 정부 주도로 의료 AI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이번 파트너십은 대만, 일본과 함께 아시아 주요 국가를 연결하는 전략적 의미가 있으며, 유럽과 미국을 넘어 아시아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 | |
인포바인 (115310) | 39.62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강세 |
▷지난 11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40,000주(39.62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4-12~2025-07-11) 공시. | |
씨이랩 (189330) |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그램 'XPN' 공식 출범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그램 'XPN(XIIlab Partner Network)'을 공식출범하고 내달 13일까지 전국 단위로 파트너사를 모집한다고 밝힘. XPN 프로그램은 기존의 단순 기술 공급 방식을 벗어나, 동사의 AI 핵심 기술과 파트너사의 산업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 현장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으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협력적 혁신 모델임. ▷이와 관련, 동사 윤세혁 대표는 "이번 XPN 프로그램 출범을 통해 파트너 기업과 함께 각 도메인의 AI혁신을 실행하고, 산업 고객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AI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확대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힘. | |
에이비온 (203400) | 美 ADC 개발사와 ABN501 텀시트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보스턴 소재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사와 ABN501 관련 항체 및 이중항체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LO)을 위해 텀시트(계약이 행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힘. ABN501은 클라 우딘3(CLDN3) 표적 혁신 신약(First-in-Class) 항체 치료제로 개발 중이며, 이번 텀시트에 따르면 추후 LO 계약에 CLDN3를 포함해 3종의 단일항체 및 이중항체 후보 물질이 포함될 예정. ▷동사 관계자는 “이번 텀시트는 ABN501를 포함한 동사의 개발 항체 및 이중항체의 뛰어난 안정성, 기술력, 잠재력을 높이 평가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글로벌 제약사들과 잇단 개발 협력 요청이 들어오는 상황임을 감안해, 미국 개발사가 후보물질에 대해 우선권 주장을 목적으로 선제적으로 텀시트를 요청했다”고 밝힘. 이어 “LO 본계약까지 이어질 경우 계약 규모는 8억달러(약 1조2,000억원)를 웃돌 전망”이라며, “본계약과 유사한 수준의 텀시트를 우선 체결했으며, 빠른 시일 내 LO 계약 체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현재 해당 후보 물질들 외에 20여 종에 달하는 항체 및 이중항체 기반의 추가 파이프라인도 보유하고 있어 후속 LO도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음. | |
HK이노엔 (195940) |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452억원(+15.3%YoY, 이하 YoY 생략), 영업이익 250억원(+44.6%, OPM 10.2%)으로 컨센서스(매출액 2,368억원, 영업이익 227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1Q25 케이캡 국내 처방액은 514억원(+13.7%)로 펙수클루, 자큐보 등 경쟁 P-CAB 약물들의 출시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는 중이라고 언급. ▷아울러 Tegoprazan의 파트너사인 Sebela는 NERD, EE 적응증 임상과 장기 안전성 임상까지 총 3개의 임상 시험을 진행했으며 현재 EE 적응증 외 임상은 종료됐다고 언급. 이어 EE 적응증 임상도 25년 내 종료될 예정으로 데이터 공개 여부 및 시점 등은 불확실하나 25년말 Tegoprazan의 NDA 제출할 것으로 추정. 미국 임상 결과 확보 및 NDA 제출 등에 따라 연내 유럽 기술 이전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8,000원[유지] | |
파두 (440110) | 대만 에이데이터와 '플렉스 SSD' 협력 MOU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모듈 분야의 글로벌 2위 기업인 대만 '에이데이터'와 전략적 제휴 및 포괄적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력은 동사가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하는 고객 맞춤형 솔루션 '플렉스 SSD' 사업모델의 주요 사례 중 첫 번째이며, 플렉스 SSD는 고객이 필요한 요소를 자유롭게 선택해 제조·양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인 것으로 전해짐. 양사는 현재 시장의 주력제품인 트리플레벨셀(TLC) 기반 5세대 기업용 SSD를 시작으로 향후 쿼드레벨셀(QLC) 기반 SSD, 차세대 제품인 Gen6 제품군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 | |
포커스에이치엔에스 (331380) | 럭스로보와 기술·사업협력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및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전문기업 럭스로보와 기술 및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기술력을 결합해 영상보안 및 IoT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로 영상보안분야의 제품개발 및 공급 협력, IoT, 모빌리티, AI 분야의 제품개발 및 공급협력 등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라고 언급. | |
큐로셀 (372320) | 동종 혈액암 세포치료제 비임상 결과 美 AACR에서 발표 예정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자사가 개발 중인 T세포 유래 혈액암 대상 동종유래 CAR-T 치료제의 비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밝힘. AACR 발표에 앞서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동사가 개발중인 최신 기술이 적용된 동종유래 CAR-T 치료제 ‘CD5 감마델타(γδ) CAR-T’에서 강력한 항암 효과를 확인했다고 설명. 동사는 이번 비임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현재 건강보험 급여 등재 절차를 진행중인 차세대 CAR-T 치료제 ‘림카토주’에 이어 T세포 유래 혈액암 치료제 개발에도 나설 예정. ▷김건수 대표는 “동종유래 CAR-T 치료제는 기존 자가유래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차세대 항암면역세포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며, “동사의 차별화된 CAR-T 기술을 통해 동종유래 치료제의 확장성과 유효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치료에 한계가 있는 T세포 유래 혈액암 치료제를 개발해 글로벌 항암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밝힘. | |
파워넷 (037030) | 상반기 최대 실적 예고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위기 상황 속에서 발 빠른 선제적 대응과 사업구조 변화로 대형 악재를 극복하고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지난해 말부터 EMS(완제품 생산)와 에너지(배터리팩) 부문의 성과가 실적에 반영되고 기존 사업군의 신모델 물량이 늘어나며 2024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올해 그 흐름이 유지되며 제조업 전반의 부진 속에서도 상반기 최대 실적을 예고하고 있다고 밝힘. ▷한편, 동사 관계자는 "관세정책 등 변동성에 대비해 사전에 준비한 생산라인 두 배 증설로 생산능력(CAPA) 확보와 주요 품목들의 제조지 이원화 등의 선제적 대응을 진행해 왔다"며 "이번 상호관세 유예 발표 후 EMS의 경우 상반기 공급물량이 114% 증가했고 다른 B2B(기업간 거래) 사업부문도 2분기 이후 변동성에 대비한 선공급이 예상되고 있다"고 언급했음. | |
디알텍 (214680) | 사우디 세미나서 벤더블 솔루션 소개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담맘에서 열린 'Advanced Inspection Technical Seminar in KSA'에 참가했다고 밝힘. 이번 세미나에는 사우디 국영 석유·천연가스회사 아람코와 화학기업 사빅, 미국비파괴검사협회(ASNT) 등이 참가,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검사장비와 최신 품질관리 기술을 공유했다며, 세계 최초로 개발한 벤더블 솔루션 등을 직접 소개하고, 비파괴검사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 제품 데모를 진행했다고 언급. ▷디지털 방사선 검사를 위한 벤더블 디텍터와 함께 소프트웨어, 배관 촬영 영상 등 통합 솔루션을 발표한 가운데, 특히, 아람코로부터 승인을 받은 '플렉스 벤더블(FleX Bendable)' 차세대 제품인 'EXT 1070B'도 선보이며 관심을 모았다고 밝힘. | |
샘씨엔에스 (252990) | 올해 가이던스 상향 조정 등에 소폭 상승 |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연간 매출액 가이던스는 700억원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고부가 DRAM용 STF 예상 매출액은 250억원(YoY +105%)으로 전사 비중 36%에 육박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 특히, 유럽계 프로브카드 고객사를 통한 중장기 매출 확대 모멘텀을 기대한다고 밝힘. ▷아울러 1Q25 예상매출액은 160억원으로 메모리반도체 고객들의 가동률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메모리반도체 고객사의 NAND 수율 이슈로 예상대비 높은 수준의 STF 수요가 발생한 것으로 파 악된다고 언급. 이어 동사가 Technoprobe 메모리용 프로브카드에 세라믹 STF를 독점 납품 중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객사의 제품 다각화 성공 여부에 따라 동사의 중장기 안정적인 고부가 DRAM향 제품 비중 확대가 가능할 것이며, 이는 향후 주가에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 | |
디티앤씨알오 (383930) | 美래디어스리서치와 FDA 독성시험컨설팅 서비스 착수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신약개발 컨설팅기업 레디어스리서치(Radyus Research)와 함께 미국식품의약국(FDA)독성시험 컨설팅 서비스에 착수한다고 밝힘. 이번에 제공되는 서비스는 독성시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FDA 독성시험 검토(FTSR, FDA Toxicology Study Review), FDA 독성시험 컨설팅(FTSC, FDA Toxicology Study Consulting)으로 구성되며, 특히 FTSC는 독성시험 계획 수립 초기 단계부터 FDA 및 글로벌 규제기관 요건에 부합하는 맞춤형 연구 프로토콜 설계와 전략 수립을 제공해 보다 높은 FDA 승인 가능성과 효율적인 개발 진행을 가능케 할 예정. ▷동사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FDA 승인 전략 수립 일환으로 독성시험에 대한 전략적 컨설팅 역량을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에 직접 제공해 미국 진출에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
바이넥스 (053030) | 상업생산 본격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 및 수주 확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iM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부터 바이오의약품 상업생산 본격화가 기대된다며, 지속적인 가동률 상승으로 인한 매출확대로 수익성 개선 가속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023년말 기준 수주 잔고가 284억원으로 급격히 감소하면서 지난해 매출이 저조했지만, 2024년말 수주잔고는 643억원에 이르고 있어 올해 실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 ▷아울러 2021년11월 동사와 셀트리온은 CMO 국산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에 따라 셀트리온이 바이오시밀러 생산 및 공급을 동사에 위탁하고, 관련 생산기술을 공유하는 등 위탁생산 협력 관계 구 축에 나서기로 했다고 설명. 이러한 환경하에서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악템라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올해 1월과 2월에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각각 판매승인을 획득했다며, 이를 통해 올해부터 미국, 유럽 등에서 수주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지난해 9월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개발사와 상용화 규모 시험 생산(PPQ)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를 통해 그동안 가동률이 미미하였던 오송공장 5000ℓ 라인에서 올해부터 생산이 이뤄질 예정으로 가동률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 상용화 규모시험 생산(PPQ) 완료 이후에는 2026년과 2027년에 각각의 바이오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상업생산이 본격화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
오텍 (067170) | 183.60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에 급락 |
▷지난 11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8,500,000주(183.60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2,160원,1주당 약 0.59주 배정,청약예정:2025년07월03일~2025년07월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07-24) 공시.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5 15:30
아이씨티케이 | 16,050 | 480 | -2.9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