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위방폐물 이미 포화상태 주민 최우선 방폐장 짓겠다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입력 : 2025.04.13 17:19:17 I 수정 : 2025.04.13 17:23:52
조성돈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
새 저장시설 부지 확보 시급
주민투표 거쳐 의견 수렴할것
방폐물 운반기술 90% 완성
안전한 방폐물 전담기관될것




◆ 비즈니스 리더 ◆





조성돈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은 공단 공채 1기 출신으로 공단 경영본부장까지 맡았다. 하지만 2019년 조 이사장은 모두가 선망하던 경영본부장직에서 돌연 물러났다. 조 이사장이 사퇴 후 자원한 곳은 고준위방폐물 처리시설 공론화위원회. 조 이사장은 이후 고준위방폐물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 행정준비단장을 맡았다.

고준위방폐물 처리에 온 관심을 쏟았던 그는 마지막으로 기관장에 도전했다. 고준위방폐물 처리시설 업무를 매듭지어야겠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는 2023년 5월 취임식과 함께 '고준위방폐장 부지선정 착수 원년 선포식'을 열었다. 그리고 올해 2월, '고준위방폐물 관리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조 이사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만나 "고준위방폐물에 대한 대책이 한국에서도 분명히 현안으로 대두될 것이라고 판단했다"며 "이번 특별법 통과는 예측 가능한 고준위방폐물 관리정책 수립이 가능해졌다는 데 아주 큰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고준위방폐물이란 열과 방사능의 준위가 높은 폐기물을 뜻한다. 한국은 2015년 경주에 중저준위방폐장을 준공했지만 고준위방폐장을 짓지 못했다. 최근 고준위특별법이 통과되며 방폐장 설립을 위한 논의가 시작될 수 있게 됐다.

조 이사장은 "고준위방폐물만 이미 1만9000드럼이 쌓여 어떤 식으로든지 처리 방안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준위방폐물은 현재 원전 내 별도 시설에 건식 저장되고 있다. 주요 원전들의 고준위방폐물 저장률은 80~90%로 이미 포화 상태다.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건 용지 확보다. 중저준위방폐장을 건설할 때도 용지 선정에 9차례나 실패했다. 조 이사장은 당시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빈틈없이 용지 선정 절차를 밟겠다고 전했다. 고준위특별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주민투표를 거치는 등 주민 의사를 필수적으로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조 이사장은 "지자체로부터 1차로 용지 공모 신청을 받아서 10~15곳 정도를 선정해 기본조사 대상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주 중저준위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에는 수조 원의 막대한 정부 지원이 투입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주 관광산업이 활성화됐다"면서 "이 같은 경주의 경험으로 여러 지역에서 고준위방폐장 유치 경쟁을 벌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용지를 선정하면 고준위방폐물 중간저장시설을 2050년 이전까지 건설하게 된다. 중간저장시설은 방폐물을 처분 전까지 운반해 안전하게 보관하는 장소다. 공단은 방폐물 운반과 처리, 저장 기술 완성에도 공을 들일 계획이다. 현재 운반 기술은 선도국 대비 90%, 처리·저장 기술은 60~70% 수준까지 올라왔다. 조 이사장은 "원자력환경공단이 프랑스의 '안드라(ANDRA)'에 버금가는 방폐물 전담 기관으로 성장하는 게 가장 큰 미래 비전"이라며 "4~5년 내에 공단이 그 수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조성돈 이사장 △1959년 강원도 평창 출생 △광운대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공채 1기 입사, 전략기획실, 성과관리실장, 기획조정실장, 경영본부장 △2023년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

[신유경 기자 / 사진 김호영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5 04:2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