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위력 이 정도일 줄이야…한국기업 휘청이게 한 관세 리스크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한재범 기자(jbhan@mk.co.kr)

입력 : 2025.04.02 07:31:18
관세 리스크에 철강값 급락

국내 제조기업 10곳중 6곳
“트럼프 관세 직간접 영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일 발표하는 상호관세와 3일부터 부과하는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를 앞둔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은 지난달 12일부터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2025.4.1 [사진 = 연합뉴스]


관세 영향이 아직 온전히 반영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지난달 철강 수출이 10% 이상 급감하면서 향후 수출이 더 어려움에 봉착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철강 수출은 단가 하락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6% 감소한 26억달러를 기록했다. 대미 철강 수출액은 2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5.9% 감소했다. 지난달 12일부터 미국이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물량이 줄어든 것이다.

정부는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 속 철강 가격 하락이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아직 관세 부과 효과가 본격화하지 않은 만큼 앞으로 수출 전망도 어두울 것으로 관측된다. 통상적으로 철강은 계약이 이뤄진 후 수출하기까지 2~3개월 시차가 발생한다.

박정성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이번 철강 수출 감소는 가격 하락에 따른 영향이 크고, 현재까지는 미국발 관세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관세가 수출에 바로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아니었지만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이 같은 현상이 4월 이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고 우리 수출 전망도 ‘흐림’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철강 수출 급감세에도 지난달 전체 수출은 증가했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한 582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전 품목이 8개월 만에 동시에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액은 130억6000만달러로 11.9% 늘어났다. 무선통신기기(13.8%), 컴퓨터(33.1%) 등 품목도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이 증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27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들에 세워져 있다. 2025.3.27 [사진 = 연합뉴스]


관세로 인해 수출 전망이 불확실성에 빠진 가운데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이 미국 관세 영향권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이날 발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중 60.3%가 미국 관세정책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했다. 조사는 국내 제조기업 2107개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46.3%가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했고, 14%는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변했다.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내놓은 업종은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이었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국내 자동차·배터리 대기업에 부품·소재 등을 공급하는 협력사가 많이 포함된 것으로 풀이된다.

영향권 내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 중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다음은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기업’(17.9%) 등이었다.

국내 기업들은 미국발 관세 영향으로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밖에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 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4%) 등 우려사항이 뒤를 이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03 10:3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