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작년 육아휴직 사용자 5천명 육박…100대 기업 중 1위
CEO스코어, 국내 100대 기업 육아휴직 사용자 수·사용률 조사육아휴직 사용률 1위는 롯데쇼핑…SK에코플랜트는 1.2% 그쳐
장하나
입력 : 2025.04.02 06:01:00
입력 : 2025.04.02 06:01:00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지난해 삼성전자의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5천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휴직 사용률 1위는 롯데쇼핑이 차지했다.

삼성전자 디지털시티 제4어린이집 전경
[삼성전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육아지원제도를 공시한 기업 83곳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사용자 수와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의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4천892명으로 조사 대상 중 1위였다.
이어 기업은행(1천391명)과 LG디스플레이(1천299명), 한국전력공사(1천4명), 한국수력원자력(758명), SK하이닉스(756명), 현대자동차(639명), 국민은행(562명), 대한항공(547명), LG전자(534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가장 적은 기업은 두산밥캣이다.
두산밥캣의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지난해 5명에 그쳤다.
2022년에는 1명, 2023년에는 3명이었다.
이어 SK인천석유화학(6명), 포스코인터내셔널(10명), SK지오센트릭(11명), 현대위아(13명) 등의 순으로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적었다.

2024년 육아휴직 사용자수 상위 10곳
[CEO스코어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가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도 삼성전자(422명↑)였다.
이어 한전(280명↑), CJ제일제당(86명↑), 우리은행(75명↑), LG에너지솔루션(71명↑), 한수원(52명↑), 현대건설(33명↑), CJ대한통운(32명↑), 현대해상(31명↑), SK온(27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률 1위는 롯데쇼핑이다.
롯데쇼핑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80.0%, 2023년 82.0%, 2024년 80.0%로 3년 연속 80% 이상을 기록했다.
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77.3%),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72.9%), 기업은행(64.5%), SK네트웍스(61.0%), 삼성생명(59.8%), 하나은행(59.6%), 우리은행(53.2%), 신한은행(52.8%), 한화생명(50.8%) 등의 순이다.
반면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낮은 곳은 SK에코프랜트였다.
SK에코플랜트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1.0%, 2023년 1.0%, 2024년 1.2%로 3년 연속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한온시스템(4.2%)과 현대건설(6.7%), 현대엔지니어링(7.0%), 포스코이앤씨(7.6%), 한화에어로스페이스(8.9%), 에쓰오일(9.8%) 등도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았다.
hanajjang@yna.co.kr(끝)
육아휴직 사용률 1위는 롯데쇼핑이 차지했다.

[삼성전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육아지원제도를 공시한 기업 83곳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사용자 수와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의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4천892명으로 조사 대상 중 1위였다.
이어 기업은행(1천391명)과 LG디스플레이(1천299명), 한국전력공사(1천4명), 한국수력원자력(758명), SK하이닉스(756명), 현대자동차(639명), 국민은행(562명), 대한항공(547명), LG전자(534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가장 적은 기업은 두산밥캣이다.
두산밥캣의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지난해 5명에 그쳤다.
2022년에는 1명, 2023년에는 3명이었다.
이어 SK인천석유화학(6명), 포스코인터내셔널(10명), SK지오센트릭(11명), 현대위아(13명) 등의 순으로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적었다.

[CEO스코어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가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도 삼성전자(422명↑)였다.
이어 한전(280명↑), CJ제일제당(86명↑), 우리은행(75명↑), LG에너지솔루션(71명↑), 한수원(52명↑), 현대건설(33명↑), CJ대한통운(32명↑), 현대해상(31명↑), SK온(27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률 1위는 롯데쇼핑이다.
롯데쇼핑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80.0%, 2023년 82.0%, 2024년 80.0%로 3년 연속 80% 이상을 기록했다.
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77.3%),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72.9%), 기업은행(64.5%), SK네트웍스(61.0%), 삼성생명(59.8%), 하나은행(59.6%), 우리은행(53.2%), 신한은행(52.8%), 한화생명(50.8%) 등의 순이다.
반면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낮은 곳은 SK에코프랜트였다.
SK에코플랜트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1.0%, 2023년 1.0%, 2024년 1.2%로 3년 연속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한온시스템(4.2%)과 현대건설(6.7%), 현대엔지니어링(7.0%), 포스코이앤씨(7.6%), 한화에어로스페이스(8.9%), 에쓰오일(9.8%) 등도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았다.
hanajja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부과에 애플 7% 폭락...S&P500 3% 급락
-
2
“금값 올라도 너무 올랐다”...고점론 확산에 철강으로 머니무브
-
3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4
최상목 “금감원장 경거망동 말라”...이복현 사의표명한 이유는?
-
5
美 백악관 "철강·자동차·반도체 등은 상호관세 적용 안돼"
-
6
금감원, MBK 옥죄기…산하 투자자문사도 검사 착수
-
7
“헌재 결정 수용하는게 선고만큼 중요”...탄핵일지 기록한 법조인의 조언은
-
8
"김일성大, 시베리아 과학기지에 대표사무소 설립 검토"
-
9
'트럼프 韓 25% 상호관세' 발표에 정부 긴급 민관합동 대책회의
-
10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