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아…식료품·주거비 부담 특히 가중"
한경협, 2014∼2024년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분석
임성호
입력 : 2025.04.02 06:00:15 I 수정 : 2025.04.02 10:25:38
입력 : 2025.04.02 06:00:15 I 수정 : 2025.04.02 10:25:38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에 따른 살림살이 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에서 지출 비중이 더욱 큰 식비·주거비 물가가 특히 가파르게 오르면서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10년간(2014∼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빈층인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이 23.2%로, 고소득층인 5분위(20.6%)보다 2.6%포인트 높았다고 2일 밝혔다.
10년 사이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은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저소득층의 부담을 높인 주요 요인은 식료품비와 난방비 등 주거 관련 비용 상승이었다.
통상 저소득층일수록 처분가능소득 대비 식비와 주거비 비중이 절대적으로 큰데, 이들 비용이 다른 분야보다 유독 높게 오른 것이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기준 소득 1분위의 지출 비중이 높은 분야는 식료품·비주류(술 제외) 음료(20.9%)를 비롯해 주거비인 주택·수도·광열(20%) 등이었다.
지난 10년간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21.2%)의 2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주택·수도·광열 비용은 17.5% 올랐다.
반대로 소득 5분위에서 지출 비중이 높은 교통, 교육, 오락·문화 비용은 10년간 각각 5.3%, 10.6%, 9.2%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밑돌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며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부과에 애플 7% 폭락...S&P500 3% 급락
-
2
“금값 올라도 너무 올랐다”...고점론 확산에 철강으로 머니무브
-
3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4
최상목 “금감원장 경거망동 말라”...이복현 사의표명한 이유는?
-
5
美 백악관 "철강·자동차·반도체 등은 상호관세 적용 안돼"
-
6
금감원, MBK 옥죄기…산하 투자자문사도 검사 착수
-
7
“헌재 결정 수용하는게 선고만큼 중요”...탄핵일지 기록한 법조인의 조언은
-
8
"김일성大, 시베리아 과학기지에 대표사무소 설립 검토"
-
9
'트럼프 韓 25% 상호관세' 발표에 정부 긴급 민관합동 대책회의
-
10
디모아, 10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