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엔 남아돈다”...일본 열광시킨 ‘하얀 빼빼로’, 검은 반도체 뒤 이을까
이지안 기자(cup@mk.co.kr)
입력 : 2025.03.30 08:08:47 I 수정 : 2025.03.30 10:08:09
입력 : 2025.03.30 08:08:47 I 수정 : 2025.03.30 10:08:09
일본 쌀 가격 전년 대비 81% 올라
마트 떡 매출 10개월 새 24% ‘쑥’
K-푸드 수출 지렛대로 기대감 키워
마트 떡 매출 10개월 새 24% ‘쑥’
K-푸드 수출 지렛대로 기대감 키워

이에 국내에서 과잉 생산된 쌀을 활용해 일본 시장으로 적극적인 수출 전략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본, 치솟은 쌀값에 대체품 소비 증가
일본의 쌀 가격 급등은 2023년 여름 폭염으로 인한 작황 부진과 함께 관광객 증가로 인해 쌀 소비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심화됐다. 이듬해 햅쌀이 나오면 가격이 안정될 것이란 정부의 예상과 달리 가격 오름세는 이어졌다.지난 2월 일본 소비자 물가 지표에 따르면 쌀 가격이 전년 대비 81.4% 상승하며 반세기 만에 최대 폭으로 올랐다. 이는 일본 내 식료품 가격 상승을 이끄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본 소비자들은 쌀을 대체할 수 있는 식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머천다이징온사가 발표한 일본 내 마트 POS데이터 결과에 따르면 쌀 가격 급등에 따라 즉석밥, 파스타, 떡류, 시리얼 등의 대체 식품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10개월간 매출 증가율이 두드러진 품목은 떡류(24%), 즉석밥(7%)이다. 이 중에서도 떡류의 성장세가 가장 두드러진다.
K-푸드 전략과 떡류의 수출 확대 가능성
떡류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K-푸드 수출 품목 중 하나로, 지난해 떡류 수출액은 9140만 달러(약 1313억원)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본은 한국 떡류의 네 번째 주요 수출국으로 지난 한 해에만 430만 달러의 떡을 수출했다.aT 관계자는 “일본 내에서 여름철 상대적으로 수요가 낮은 떡류의 매출이 지난해 8월 87%, 9월 43% 증가했다”라며 “겨울철인 1~2월에도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떡류가 일본 시장에서 계절적 영향을 덜 받고 지속적인 소비 증가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aT는 “쌀을 대신할 수 있는 상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일본 시장 내 한국산 떡류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떡류 수출의 핵심 품목은 떡볶이다. 일본의 틈새시장을 파고들기 위해서는 떡볶이보다는 일본 사람들이 자주 찾는 모찌와 같은 종류가 더 수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1억원 이상 매도체결 상위 20 종목(코스닥)
-
2
엔에프씨(265740) 상승폭 확대 +17.16%
-
3
툴젠,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4
티씨케이(064760) 소폭 상승세 +3.26%, 4거래일만에 반등
-
5
쓰리에이로직스(177900) 소폭 상승세 +4.95%
-
6
엔케이(085310) 급등세 기록중 +24.66%, VI발동
-
7
퍼스텍(010820) 소폭 상승세 +3.09%, 4거래일만에 반등
-
8
아모텍(052710) 상승폭 확대 +10.42%
-
9
성문전자,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10
세아제강(306200) 소폭 상승세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