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깜빡하니 5만원이 천원됐다... 닐리온 폭락 무슨일?[엠블록레터]

전성아 엠블록컴퍼니 기자(jeon.seonga@m-block.io)

입력 : 2025.03.28 18:04:52


[엠블록레터] 안녕하세요 엠블록레터의 AI 인턴입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신규 상장한 ‘닐리온(NIL)’ 거래 중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며 시세가 수십 배 폭등했다가 순식간에 폭락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피해를 본 투자자들의 항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이번 사안에 대해 사실관계 확인에 착수했습니다.

닐리온은 지난 24일 오후 10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중 유일하게 코인원 원화 마켓에 상장됐습니다. 코인원은 상장 당일 오후 10시부터 매도 주문, 10시 5분부터 매수 주문이 가능하다고 공지했지만, 실제로는 매도 주문이 약 15분간 지연됐습니다. 이로 인해 가격은 상장가 585.6원에서 시작해 5만원까지 급등했으며, 이후 매도 기능이 정상화되자 단 1분 만에 1200원대로 급락했습니다. 고점 대비 약 98% 가까운 폭락이 발생한 것입니다.

일부 투자자는 이 과정에서 “5만원에 매수했는데 바로 1000원대가 되었다”고 토로하며 거래소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습니다. 특히 당시 바이낸스의 닐리온 시세는 약 0.89달러(1300원) 수준이었고, 국내 가격은 일시적으로 3800% 이상의 ‘김치 프리미엄’이 형성됐습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코인원은 공지사항을 통해 “닐리온 신규 거래 오픈 이후 일정 시간 매도 주문 처리 지연이 발생했다”며 “현재 해당 상황을 면밀히 확인 중이며, 확인된 사항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향후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 안정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코인원은 현재 피해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피해 접수를 받고 있으며, 보상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한편 커뮤니티에는 “왜 고점에서만 거래가 되고 매도는 막혔냐”, “사전에 공지한 시간대로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용자들의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금융감독원도 이번 사태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산 장애는 보고 대상에 해당하는 중요 사항으로,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코인원 측에 연락했다”며 “아직 현장 점검 계획은 없지만, 적절한 조치가 이뤄졌는지 계속 들여다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코인원은 지난해 말에도 ‘무브먼트(MOVE)’라는 신규 상장 자산이 기준가 대비 4600배 급등했다가 급락하며 투자자 피해가 발생한 전례가 있습니다. 당시에도 유동성 부족과 시스템 지연이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반복되는 상장 혼란에 업계에서는 “상장 심사와 시스템 운영에 대한 전반적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상 AI 인턴이었습니다.

Written by ChatGPT



요즘 유행인 챗지피티로 4컷 만화 만들기! 최근 비허가 가상자산 거래소의 영업, 폰지사기 등 곳곳에 도사린 위험에 똑똑하게 대처하는 구독자분들을 생각하며 만들어보았어요. ᅵ ChatGPT로 제작


구글, 국내 미신고 외국 가상자산사업자 앱 17개 접속 차단


  • 금융정보분석원(FIU) 요청에 따라 구글코리아가 쿠코인, 멕시 등 미신고 외국 가상자산사업자 17곳의 앱 국내 접속 차단
  • 해당 앱은 신규 설치 및 업데이트 불가, 애플 앱스토어 및 웹사이트 차단도 추진 중
  • 특금법에 따라 국내 영업 시 외국 가상자산사업자도 신고 의무 존재
  • 미신고 사업자 이용자에겐 가상자산 인출 등 자산 보호 조치 권고
  • 현재 국내에 정식 신고된 가상자산사업자는 28개, FIU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빗썸 따라’ 150만명 NH서 KB로 갈아탔다


  • 빗썸이 NH농협은행에서 KB국민은행으로 원화계좌 제휴를 바꾼 첫날, 약 152만 계좌가 KB로 이동하며 예치금 1조7000억 원 규모 달성
  • 이는 기존 농협 연동 계좌의 약 75%로, 휴면 계정을 제외하면 주요 고객 대부분이 계좌를 이전한 것으로 분석됨
  • KB국민은행은 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 기반 신사업 확장을 기대, 빗썸은 업비트와의 점유율 격차를 줄이려는 전략
  • 디스프레드 김동혁 연구원은 KB의 시장 점유율과 젊은 고객층이 빗썸의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전망
  • 제휴 거래소가 없는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전략 수정 가능성도 제기됨


업비트 ‘영업 일부정지’ 제동…법원, 집행정지 인용


  • 서울행정법원,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여 신규 이용자 가상자산 전송 제한 조치 일시 중단
  •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두나무와 소속 직원의 특금법 위반을 이유로 신규 가입자의 디지털자산 입·출금을 제한하는 제재를 3월 7일부터 6월 6일까지 부과했음
  • 두나무는 제재에 반발하며 행정소송과 집행정지 신청을 제기, 법원은 제재 효력을 본안 소송 판결까지 정지시킴
  • 만약 법원이 집행정지를 허용하지 않았다면 3월 28일부터 FIU의 제재가 효력 발생 예정이었음
  • 본안 소송에서 FIU의 제재가 정당한지 여부를 두고 법적 공방이 예상됨


트럼프家 가상화폐 플랫폼, 이번엔 스테이블코인 출시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스테이블코인과 가상자산을 이용한 시장 장악을 시도,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강조하며 ‘USD1’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 발표
  • 트럼프와 관련된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은 이더리움과 BNB 체인에서 ‘USD1’ 스테이블코인을 출시, 총 발행 예정량은 약 350만 달러 규모
  • 트럼프미디어앤드테크놀로지그룹(TMTG)은 글로벌 거래소 크립토닷컴과 협력해 가상화폐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추진
  • 트럼프의 ‘친(親) 가상자산’ 발언과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규제 강화 예고로, 미국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가능성 제시
  • 정치권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가족이 WLFI 지분 60%를 보유하며 이해 충돌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짐, 트럼프의 SNS 활동도 논란을 일으킴


비트코인, 자동차 관세 발표에 1억2800만원대 횡보


  • 비트코인이 이틀 연속 1억2800만원대에서 횡보, 트럼프 대통령의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발표로 반등 무산
  • 이더리움은 300만원 아래로 하락, 김치프리미엄은 0.69%로 1% 밑으로 축소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위험자산 투자 심리 악화로 이어져 가상자산 시장에 악영향
  • 뮤·페페·플로키 등 밈코인 급등세도 관세 발표 후 주춤
  • 공포·탐욕 지수는 전날보다 하락한 40점, 투자 심리는 ‘공포’ 수준으로 위축


Written by ChatGPT

전성아 엠블록 연구원(jeon.seonga@m-block.io), 김용영 엠블록 에디터(yykim@m-block.io)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3.31 16:0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