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같은 내 돈 지키고 싶다”…골드바 품귀현상 속 ‘안전자산’에 쏠리는 눈
김민주 매경닷컴 기자(kim.minjoo@mk.co.kr)
입력 : 2025.02.25 15:01:39
입력 : 2025.02.25 15:01:39
골드바 판매중단 후 골드뱅킹 잔액 증가
금 ETF·달러화 예금 등 대체투자 ‘주목’
금 ETF·달러화 예금 등 대체투자 ‘주목’

어디로 튈지 모르는 트럼프 2기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투자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25일 오후 2시 한국거래소에서 금 현물 1g은 전일대비 170원(0.11%) 오른 14만6110원에 거래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12만8700원) 이후 약 13.5% 상승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코스피가 0.14%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두드러지는 증가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이후 트럼프발(發) 무역 전쟁과 이로 인한 세계 경제 타격 우려가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를 부추긴 모습이다.
골드바 품귀 현상도 빚어지자 투자자들은 금 실물 외 대체 투자처로도 눈을 돌리고 있다.
5대 시중은행 중 골드뱅킹(금 통장)을 취급하지 않는 하나은행, NH농협은행을 제외한 모든 은행에서 골드뱅킹 잔액은 이달 들어 지속 증가세다. 골드뱅킹은 은행 계좌에서 금을 예금하고 거래할 수 있는 상품이다.
골드바 판매가 본격적으로 중단되기 시작한 지난 14일 기준,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총 9019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말(7822억원)보다 15.3%, 지난달 말(8353억원)보다 8.0% 늘어난 수치다.
골드뱅킹은 도난 걱정이 없고 유동성이 높으며 소액으로 투자가 가능하단 장점이 있다. 단, 매매 차익에 15.4% 세금이 부과되고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가 추가로 발생한다는 점을 유의해야한다.

금 시세 변동에 따라 수익을 볼 수 있는 금 상장지수펀드(ETF)도 금테크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대표적인 국내 상장 금 ETF로는 ▲ACE KRX 금현물 ▲KODEX 골드선물(H) ▲TIGER 금은선물(H) ▲KODEX 골드선물인버스(H)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등이 있다.
금 ETF는 주식처럼 증권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지만, 증권사 수수료와 ETF 운용 보수가 발생한다. 롤오버 과정에서 추가 비용도 발생할 수 있다. 롤오버는 만기된 선물 계약을 새로운 계약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다.
달러화 예금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정국 불안에 수출입기업들은 예비용 자금 확보에 나섰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월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에 따르면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예금잔액 1034억4000만달러)은 달러화, 기업예금을 중심으로 전월말 대비 21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잔액(1038억8000만달러) 이후 최대 규모다. 거주자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기업,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국내에 진출해 있는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 증시 불황에 서학개미 보관금액도 꺾였다 … 저가매수로 대응
-
2
“불황 엎친데 트럼프 덮친 한국, 이대로 가다간”…성장률 전망 확 내린 한은
-
3
‘반도체 스토리지’ 엠디바이스, 일반청약서 증거금 2.2조원 모아
-
4
코데즈컴바인, 24년 연결 영업이익 10.59억원
-
5
제일엠앤에스, 19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6
오피셜 트럼프 후폭풍... 국가 사칭 밈 코인 활개
-
7
에셋플러스 ‘인도일등기업포커스20액티브 ETF’ 출시
-
8
[2월 25일 공시] 한화오션, 플랜트 공사 수주
-
9
美빅테크 러브콜 받는 韓 AI기업들 ··· AI 유니콘 기업 탄생할까
-
10
[속보] 비트코인 43일만에 9만달러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