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트먼, 인도 저비용 AI 시스템 개발에 협력 의사 있어"
'印방문' 올트먼, AI 개발자 등과 회동…정보통신부 장관 "논의 좋았다"
유창엽
입력 : 2025.02.05 19:45:09
입력 : 2025.02.05 19:45:09
(뉴델리=연합뉴스) 유창엽 특파원 =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발 충격 속에 인공지능(AI) 산업 주도권을 다지기 위해 일본과 한국을 방문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5일(현지시간) 인도를 방문, 인도의 저비용 AI 시스템 개발에 협력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고 인도 당국자가 전했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이날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아슈위니 바이슈노 정보통신부 장관과 만나 저비용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인도 측 계획과 관련해 논의하면서 이 같은 의사를 밝혔다.
바이슈노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회동 영상을 통해 인도의 계획을 놓고 올트먼 CEO와 벌인 논의는 "매우 좋았다"(super cool)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인도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모델, 앱을 모두 만들려는 전략인데 올트먼 CEO는 이 세 부문에서 협력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딥시크가 저비용 AI 모델로 전세계 AI산업 판도를 뒤흔든 점을 높이 평가한 바 있는 바이슈노 장관은 인도도 저비용 AI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인도)가 많은 다른 나라들처럼 적은 비용으로 달에 무인 탐사선을 보냈다"며 "많은 다른 이들이 그렇게 하듯 왜 우리가 적은 비용으로 (AI) 모델을 만들 수 없겠느냐"고 자문했다.
올트먼 CEO는 이날 인도의 AI 개발자들과 한 비공개 회동에서는 인도가 지난해 한 해 동안 자사가 개발한 챗GPT 사용자가 세배 급증하는 등 사용자 면에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라고 말했다.
그는 "인도는 일반적인 AI와 특히 오픈AI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인도는 AI 혁명의 지도자들 가운데 하나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인도 뉴스통신 PTI는 전했다.
올트먼 CEO의 이번 인도 방문은 약 2년 만이다.
그는 2023년 6월 처음으로 뉴델리를 찾아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만나 인도의 기술 생태계 부양을 위한 AI 잠재력 등에 관해 논의했다.
올트먼 CEO는 딥시크발 충격 속에서 AI 산업 내 자사의 주도권을 다지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최근 일본과 한국을 잇따라 방문한 뒤 뉴델리로 이동했다.
인도 방문 후에는 아랍에미리트(UAE)와 독일, 프랑스 등도 방문할 예정이다.
그는 오는 10일부터 양일간 파리에서 모디 총리가 공동 주재하는 'AI 행동 정상회의'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AFP는 전했다.
그의 이번 인도 방문은 특히 오픈AI가 인도에서 저작권 침해 소송을 당한 가운데 이뤄진 것이기도 하다.
인도 언론매체들은 오픈AI가 뉴스 콘텐츠를 무단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오픈AI 측은 공개된 뉴스 콘텐츠를 원칙에 맞게 사용했을 뿐이라고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yct9423@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