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작년 산업생산 1.7% 증가…소매판매 2.2%↓·건설4.9%↓
김혜진 매경닷컴 기자(heyjiny@mk.co.kr)
입력 : 2025.02.03 08:01:56 I 수정 : 2025.02.03 08:27:04
입력 : 2025.02.03 08:01:56 I 수정 : 2025.02.03 08:27:04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작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전년(1.0%)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광공업 생산이 4.1% 증가하면서 전체 산업생산 호조세를 견인했다. 제조업은 4.4%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비스 소비가 반영된 서비스 생산은 작년 1.4% 증가했다. 증가 폭이 전년(3.2%)의 절반 이하로 쪼그라들며 2020년(-2.0%) 이후 최소 폭을 기록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은 2.2% 줄었다.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3.2%)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설비투자는 4.1% 늘었다. 건설기성은 4.9% 감소했다.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작년 12월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은 전달보다 2.3% 증가했다. 작년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다가 넉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광공업 생산은 4.6%,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소매판매는 0.6% 감소했다. 내수 부진 장기화에 더해 작년 12월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소비 위축 등 영향으로 작년 9월 이후 넉 달째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설비투자는 9.9% 늘었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1.3% 늘며 플러스로 전환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과 같았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작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전년(1.0%)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광공업 생산이 4.1% 증가하면서 전체 산업생산 호조세를 견인했다. 제조업은 4.4%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비스 소비가 반영된 서비스 생산은 작년 1.4% 증가했다. 증가 폭이 전년(3.2%)의 절반 이하로 쪼그라들며 2020년(-2.0%) 이후 최소 폭을 기록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은 2.2% 줄었다.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3.2%)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설비투자는 4.1% 늘었다. 건설기성은 4.9% 감소했다.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작년 12월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은 전달보다 2.3% 증가했다. 작년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다가 넉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광공업 생산은 4.6%,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소매판매는 0.6% 감소했다. 내수 부진 장기화에 더해 작년 12월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소비 위축 등 영향으로 작년 9월 이후 넉 달째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설비투자는 9.9% 늘었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1.3% 늘며 플러스로 전환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과 같았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관세 전쟁 현실화에 관련주 희비…희토류 웃고, 완성차·반도체 울고
-
2
인기검색 20종목
-
3
“또 1470원대라니”...트럼프발 관세 전쟁 폭탄 맞은 원화값
-
4
네이처셀, 24년 연결 영업이익 10.31억원
-
5
40살 되는 이준석 “정치판갈이” 대권도전 선언...그런데 ‘태영건설우’ 주가 뛰는 이유
-
6
포스코스틸리온, 24년 연결 영업이익 519.23억원
-
7
오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닥)
-
8
비올, 24년 개별 영업이익 360.61억원
-
9
오리엔트정공(065500) 소폭 상승세 +4.54%
-
10
포스코DX,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231.68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