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작년 휘발유·경유 수출량 사상 최대 기록

수입 원유 52.5% 정제해 수출…"경영여건 악화에 수출 확대로 돌파구"
김아람

입력 : 2025.02.02 09:47:27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 내 SBM(Solid Bed Merox) 공정
[SK이노베이션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지난해 국내 정유업계가 수출한 휘발유와 경유 물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대한석유협회는 2024년 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휘발유가 1억1천189만 배럴, 경유는 2억166만배럴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휘발유와 경유 수출 실적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2년 이후 최대치다.

고부가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전년 대비 3% 늘어난 8천826만 배럴에 달했다.

이에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보다 4.8% 증가한 4억9천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였다.

이는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약 33번 가득 채우는 물량이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중 52.5%를 정제해 수출한 셈으로, 원유 도입량 중 수출 비중도 최고치였다.

다만 수출량 증가에도 석유제품 수출액은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전년보다 2.9% 감소한 451억7천만달러(약 61조6천억원)로 집계됐다.

석유협회는 "휘발유, 경유 수출량 최대치 기록은 지난해 글로벌 정제마진 약세로 경영 여건이 악화한 가운데 국내 정유사가 경질석유 제품 수출 확대로 돌파구를 모색한 결과"라고 풀이했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가 41.1%로 가장 높았고 이어 휘발유 22.8%, 항공유 18%, 나프타 8.1% 순이었다.

휘발유 수출은 전년보다 12.1%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그중에서도 대일본 수출량이 33% 급증했다.

일본은 탈탄소화 및 에너지 절약 일환으로 정유 공장을 통폐합했는데, 지난해 엔저로 해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휘발유와 항공유 부족 사태를 겪었다.

국가별 수출량은 호주 18%, 일본 12.9%, 싱가포르 12.5%, 미국 8.8%, 중국 8.7% 순으로 일본이 싱가포르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석유협회는 "올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에너지·통상 정책 영향 등으로 불안정성이 높아져 석유제품 수출 환경도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유업계는 정제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주력해 석유제품 수출의 질을 더욱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ic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2 13:5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