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나라보다 가혹한 대우 안할 것”…미국 상무장관 한마디에 한숨 돌린 반도체·제약

김동은 기자(bridge@mk.co.kr), 김지희 기자(kim.jeehee@mk.co.kr)

입력 : 2025.08.01 08:07:58
조만간 발표될 품목 관세서
한국, 최혜국 대우 약속받아

美생산시설 늘리는 韓기업
관세 리스크 차단에도 전력


러트닉 미 상무장관 [EPA = 연합뉴스]


조만간 품목 관세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한 대우는 받지 않는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은 가운데 업계에서는 “일단 한숨은 돌렸다”는 반응이 나온다.

31일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한국의 반도체와 제약 수출품에 다른 나라보다 더 가혹한 대우를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업계에서는 이를 반도체·제약에 부과될 예정인 ‘품목관세’ 외에 한국에만 적용되는 특별한 무역제한 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미국이 반도체 품목관세를 ‘5%’로 결정할 경우 한국산 반도체에 5% 관세 외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 쿼터를 제한하는 조치는 없을 것이란 뜻이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는 환영할만한 조건이라고 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은 모두 동일한 대우를 받으며 경쟁했다”며 “모든 업체에 동일한 품목관세만 부과될 경우 한국 업체들이 유리할 것도 없지만 불리할 이유도 없다”고 말했다.

한국 반도체 업체들은 기술력을 발전에 더해 미국 내 공장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공평한 관세 환경’ 속에서 경쟁사에 비해 조금이라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370억달러(51조6000억원)을 투자해 파운드리 공장과 연구개발 시설을 짓고 있다. 최근 테슬라로부터 수주한 23조원 규모의 AI6 반도체 생산이 예정된 곳이다. 삼성전자는 이날 실적발표를 통해 “테일러 공장은 2026년 본격 가동에 들어갈 것”이라며 “올해는 미리 정해진 금액을 투자하지만 내년부터는 투자금액을 늘려나가겠다”고 예고했다. 투자금액은 450억 달러(62조7000억원) 내외로 늘어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도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38억7000만 달러(약 5조6000억 원)를 투자해 메모리 패키징 공장과 AI 연구개발 시설을 설립할 계획이다.

한국 정부와 기업이 2000억원 달러 규모로 조성하는 대미 투자 펀드에 반도체·원전·이차전지·바이오 산업분야가 포함됐다는 점도 중요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대형 테크 업체들을 고객으로 유치하려면 고부가가치 반도체를 실시간으로 공동 개발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미국 내 공장과 연구개발 시설 등이 필요하다”며 “한-미 양국 정부가 펀드의 세부 내용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관련 시설 투자에 대한 내용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제약바이오업계도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200% 초고율 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벗어날 가능성이 커진 만큼 한숨을 돌리는 분위기다. 다만 실제 관세의 영향을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추후 구체적인 품목 관세 발표를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도 보이고 있다.

앞서 유럽과의 무역협상에서 미국은 의약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한국이 최혜국 대우를 받게 되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일본, 유럽과 동등한 수준의 관세를 적용 받는 만큼 수출 경쟁력이 급격하게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는 줄어든다.

이에 더해 기업들은 미국 현지 생산시설 확보 등 장기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를 수출 중인 SK바이오팜은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에 생산 파트너사를 확보해둔 상태다. 셀트리온은 아예 7000억원을 투입해 미국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인수하기로 했다. 현지 생산거점 확보로 관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하겠다는 의지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아직까지 의약품 관세에 대해서 확실하게 결정된 바 없는 만큼 안심할 수는 없다”며 “다만 최근 미국 내 약가 인하 기조 등을 고려할 때 한국의 바이오시밀러 산업 등에서의 강점 등을 내세우면 미국과의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2 05:1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