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소비쿠폰 사용처 검색했더니…택시·과외 개인정보 ‘줄줄’
김송현 기자(kim.songhyun@mk.co.kr), 이수민 기자(lee.sumin2@mk.co.kr), 최원석 기자(choi.wonseok@mk.co.kr)
입력 : 2025.07.30 18:40:29
입력 : 2025.07.30 18:40:29
개인사업자 실명·주소 그대로 노출
5년 전 코로나 지원금 사태 재발
행안부 “필요정보만 제공 수정 중”
5년 전 코로나 지원금 사태 재발
행안부 “필요정보만 제공 수정 중”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 중인 가운데 각 금융사의 소비쿠폰 가맹점 안내 시스템에서 일부 개인사업자의 자택 주소와 실명 등 개인정보가 그대로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20년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과정에서 벌어진 사태가 재현돼 개인정보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일부 금융사의 민생소비 회복쿠폰 가맹점 조회 시스템에 ‘개인택시’ ‘개인과외’ 등 개인이 운영하는 사업을 입력하면 사업자 실명과 자택 주소 등 개인정보가 그대로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BC카드, 하나카드 등 카드사들이 제공하는 ‘민생소비 회복쿠폰 가맹점 찾기’ 서비스를 통해 ‘개인택시’를 검색하자 개인택시를 운영하는 택시기사들의 집 주소 등 개인정보가 노출됐다. 이들 상당수는 자택을 사업자 등록지로 기재한 개인사업자다. 해당 기사들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나 빌라 등의 자택 주소가 드러났고, 일부 건은 차량번호까지 함께 공개돼 신원 식별이 가능한 수준이다.
지방에 위치한 금융사들도 마찬가지다. 광주은행과 BC카드가 제공하는 ‘민생소비 회복쿠폰 사용처 조회’ 서비스에서 ‘개인택시’를 검색하자 개인택시 사업자들의 이름과 함께 사업자 번호, 주소가 그대로 드러났다.
이러한 개인정보 노출은 개인택시 등 일부 개인사업자의 집 주소가 가맹점 주소로 등록됐기 때문이다. 해당 목록이 가맹점 주소를 일괄 노출하는 등 개인사업자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았고, 이를 각 카드사가 그대로 노출시키며 다수 개인사업자의 민감 정보가 공개된 것이다.
이 같은 개인정보 노출 사태는 2020년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과정에서 한 차례 벌어진 바 있다. 일부 카드사의 긴급재난지원금 가맹점 조회 사이트에서 개인택시 번호와 기사의 집 주소, 휴대전화 번호가 그대로 공개됐던 것이다. 당시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금융위원회와 협업해 카드사에 지침을 내릴 수 있다”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으나 약 5년 만에 같은 사태가 벌어졌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현재 가맹점 조회 기능은 정부 부처에서 제공하는 목록을 그대로 사용 중”이라며 “이번에도 정부가 제공한 목록에 개인사업자들의 실명과 집 주소가 그대로 노출됐고, 카드사들도 재차 확인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행안부는 설명 자료를 통해 “해당 서비스는 각 금융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소비쿠폰 사용 가능 가맹점 정보를 활용한 것”이라며 “불필요한 정보가 과도하게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를 고려해 금융사들과 협력해 소비자들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 제공될 수 있도록 현재 수정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넥써쓰(205500) 소폭 상승세 +3.42%
-
2
이노뎁(303530) 상승폭 확대 +18.77%
-
3
한국투자증권, 초고액자산가 대상 ‘라이프케어’ 서비스 런칭
-
4
에이유브랜즈(481070) 상승폭 확대 +8.03%, 5거래일만에 반등
-
5
인성정보(033230) 급등세 기록중 +20.06%
-
6
FOMC·美가상자산보고서에도...비트코인 11만불대 횡보 지속 [매일코인]
-
7
바이낸스, 대만 형사수사국(CIB) ‘가상자산 범죄 방지 기여 감사 배지’ 받아
-
8
IMM PE, ‘첫 반기 흑자’ 펫프렌즈 밸류업 ‘착착’
-
9
“국민연금으론 생활비도 안돼”…젊은층도 노후 준비 ‘이것’ 몰린다
-
10
티씨케이, 25년2분기 별도 영업이익 195.02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