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생태계 살리려면 코스닥도 3천시대 열어야…질적 상장심사·연기금 등 30조펀드 조성해야
이한나 기자(azure@mk.co.kr)
입력 : 2025.07.30 14:29:23
입력 : 2025.07.30 14:29:23
벤처기업·코스닥·VC協 공동 간담회
“벤처투자 40조·코스닥 3천시대”
상장 주관사 책임 강화 구조 개선
연기금 투자 확대·장기투자 세금혜택
30조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 건의
“벤처투자 40조·코스닥 3천시대”
상장 주관사 책임 강화 구조 개선
연기금 투자 확대·장기투자 세금혜택
30조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 건의

“혁신벤처 생태계가 살아나려면 창업→성장→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회복이 시급합니다. 코스닥 시장 진입이 용이하되 퇴출은 엄정하게 하는 한편, 국민연금 등 장기적인 기관투자 자금이 유입돼야 합니다.”
벤처기업협회·코스닥협회·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로드맵’ 수립을 촉구했다. 벤처 정책 범위를 넓혀서 코스닥 활성화 펀드를 포함한 벤처투자 40조원을 달성하고, ‘코스닥 3000 시대’를 열자는 취지다.
이재명 정부가 ‘코스피 5000 시대’를 내걸자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향해 랠리를 펼치는 시점에서 혁신벤처기업 등용문이자 모험자본 공급처인 코스닥 시장 활성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은 코스닥은 투자심리 위축과 상장 유인 저하로 저평가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술특례 상장 장벽을 높이자 토종 유니콘 기업도 한국 증시를 외면하고 나스닥을 검토하는 현실이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코스닥은 코스피와 유사한 규제, 경직된 심사 기준, 지나치게 보수화된 기술특례상장 제도 탓에 혁신기업의 진입 자체가 어려운 구조”라며 “‘진입은 유연하게, 퇴출은 엄정하게’라는 다산다사(多産多死) 원칙으로 민간 주도의 책임형 상장 구조를 도입하고, 성장 가능성 중심의 질적 심사로 전환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코스닥은 성장 가능성과 무형 자산에 프리미엄을 주면서 거래소와 차별화된 시장으로 운영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동훈 코스닥협회장은 “코스닥 시장은 단기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개인투자자 비중이 65%에 달한다”며 “장기 투자자인 국민연금의 상징성을 고려해 시가총액의 약 3%를 코스닥 투자 최소 비율로 제도화하길 바란다”고 제언했다. 그는 “코스닥 상장주식을 장기 보유할 경우 배당소득 세율 추가 인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이 자국 주식 투자 비율을 기존 12%에서 25%로 확대해 기업가치 상승과 투자자 신뢰 회복, 시장 체질 개선으로 이어졌고, 미국이 개인퇴직연금계좌(IRA)와 기업연금 제도 401K 등에서 세금 인센티브로 증시 활성화에 성공한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학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은 “정부의 창업 지원을 회수 영역까지 확대해 관련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장기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체질 개선을 위해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펀드 규모를 코스닥 시가총액의 약 10%인 30조원 규모로 제안하고, 민간 자금을 매칭한 자펀드에서 코스닥 예비 상장기업의 장내거래, 블록딜 등 구주와 공모주에 50%, 중소·벤처기업과 코스닥 상장기업 신주에 30% 이상 투자하게 운용하는 안을 제안했다.
이는 테슬라가 2011년 나스닥 상장 전 벤처투자와 기업공개로 8억달러를 조달하고, 상장 후엔 200억 달러 넘게 유치하며 글로벌 대기업으로 성장한 것처럼 미국·중국 기업과 직접 경쟁하는 한국 벤처기업이 글로벌 약진을 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한나 선임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2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7월 31일)
-
3
전일 2분기 실적 발표 주요 기업(2025.07.30 발표)
-
4
대양금속, (주)케이에스인더스트리 주식 취득 결정
-
5
삼성전기, 25년2분기 연결 영업이익 2,130.08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부합
-
6
배터리 부활 노리는 SK온 ‘투자자 물갈이’…메리츠증권 5조 댄다
-
7
대양금속, 10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8
당일 2분기 실적 발표 예정 주요 기업(07.31 발표 예정)
-
9
‘1가구 1주택’ 정책에 지방 집주인만 억울…“주택 총액으로 세금 매겨야”
-
10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5년 2분기, 2025.07.31 기준, 연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