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부냐, 기후환경에너지부냐…희비 엇갈리는 공무원 ‘민심’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입력 : 2025.07.25 14:39:14
입력 : 2025.07.25 14:39:14
기후에너지부 신설하면
산업부 적체 해소 기대감
환경부, 조직규모 커지는
기후환경에너지부 선호
산업부 적체 해소 기대감
환경부, 조직규모 커지는
기후환경에너지부 선호

기후에너지부 조직개편안을 두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공무원들 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5일 정부에 따르면 대통령실과 국정기획위원회는 기후에너지부와 기후환경에너지부 두 가지 안을 바탕으로 조직개편을 논의하고 있다.
기후에너지부는 환경부의 기후탄소정책실과 산업부의 에너지정책실을 합쳐 별도의 부처를 새로 신설하는 안이다. 기후환경에너지부는 환경부에 산업부의 에너지정책실을 붙이는 안이다. 환경부를 사실상 확대 개편하는 방안으로 신설 부처라고 보긴 어렵다.
산업부 일선 공무원들이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선호하는 반면 환경부 공무원들은 기후환경에너지부로의 확대개편을 바라고 있다.
산업부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애초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 많았다. 에너지 조직이 분리돼 부처가 신설되면 인사 적체가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에서였다. 부처가 신설되면 기획조정실 등 필수적인 조직이 생길 수밖에 없다. 때문에 과장·사무관급 공무원들이 에너지 부서로 옮기고 싶어한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하지만 기후환경에너지부로의 개편은 우려하고 있는 분위기다. 환경부 밑으로 에너지 조직이 편입된다면 전혀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산업부 공무원 A씨는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되면 그동안 승진이 밀렸던 과장이나 사무관들의 적체가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었던 건 사실”이라며 “에너지 조직이 환경부 밑으로 단순히 편입된다면 인사 적체 해소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환경부 공무원들 사이 입장은 다르다. 환경부 공무원들은 기후환경에너지부 개편을 좀 더 선호하고 있다. 환경부로선 핵심 아젠다인 기후 관련 업무를 사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에서 기후정책실을 떼어내 부처를 신설하면 기존 환경부의 규모는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현재 환경부에는 기조실과 기후실을 비롯해 물관리정책실 등 3개 실밖에 없는 상황이다. 기후실 조직이 별도로 분리된다면 실질적인 업무가 ‘환경청’ 수준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환경부 공무원 B씨는 “환경부 밑에 에너지 조직이 들어온다면 4실 2차관 체제가 되는데, 직원들도 환경부가 더 커지는 안을 선호한다”며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기엔 환경부 내에 기후와 연관된 업무도 많아 단순히 기후정책실을 떼어내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