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전권”...트럼프, 韓·日서한 콕 찦어 먼저 공개한 이유
이동인 기자(moveman@mk.co.kr)
입력 : 2025.07.08 06:34:36 I 수정 : 2025.07.08 06:41:41
입력 : 2025.07.08 06:34:36 I 수정 : 2025.07.08 06:41:41
SNS통해 한일 먼저 공개후
말레이시아, 남아공, 미얀마는
1시간 뒤 공개
“품목 별 관세 중복 부과 안해”
말레이시아, 남아공, 미얀마는
1시간 뒤 공개
“품목 별 관세 중복 부과 안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당초 8일(현지시간) 만료 예정이던 상호관세의 유예 기간을 내달 1일까지 연장한다고 7일 공식 발표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8월 1일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이날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은 상호관세 발효 전에, 미국과 관세율 등을 놓고 협상을 진행할 시간을 3주 이상 더 확보하게 됐다.
레빗 대변인은 각국에 상호관세 세율을 적시한 서한이 앞으로 한달 안에 각국 정상에게 발송될 것이라고 전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 정상에게 보낸 서한 외에 다른 12개국에 대한 서한을 이날 중 발송할 것이라고 전했다.
레빗 대변인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한국과 일본에 보낸 서한만 특별히 먼저 공개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그것은 대통령의 전권”이라며 “그 나라들은 대통령이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정오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 이미지를 트루스소셜 본인 계정에 거의 동시에 잇달아 올렸다.
이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일 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양국 모두 25%)이 내달 1일부터 적용된다고 밝혔다.
한일 정상에 보낸 서한을 공개한지 1시간 이상 경과한 뒤 트럼프 대통령은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미얀마, 라오스, 카자흐스탄 등의 정상에게 보낸 서한 이미지도 잇달아 SNS에 올렸다.
한편,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당국자는 각국별로 차등 책정된 상호관세가 8월1일부터 부과되더라도, 그것이 자동차(25%), 철강 및 알루미늄(각 50%) 등에 부과되고 있는 품목별 관세율 위에 더해지지는 않는다고 확인했다.
즉, 한국의 경우 8월1일부터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된다 하더라도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자동차는 ‘50%의 관세율’(25%의 품목별 관세+25%의 상호관세)이 적용되는 게 아니라, 지금과 같이 ‘25%’의 관세율을 적용받는다는 것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닥지수 : ▼1.50P(-0.19%), 776.96P
-
2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3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4
[MK시그널] 대한유화, 수익성 회복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13.48% 기록
-
5
ING, 정혜연 신임 한국 대표 선임
-
6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7
신한지주 5억달러 외화채 발행 성공…금리도 ‘최저’
-
8
코스피지수 : ▲24.39P(+0.80%), 3,083.86P
-
9
바이낸스, 1억 달러 규모 마약 거래 다크웹 해체 지원
-
10
교보증권, POSCO홀딩스 기초자산 월지급식 ELB 공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