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5.26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5/23(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트럼프, EU 관세 50% 위협 속 관세 전쟁 우려 재부각 등에 하락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하락이 우세. 특히, 애플(-3.02%)이 트럼프 대통령의 아이폰 관세 위협 등에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모바일 테마가 하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1.03%) 등 컴퓨터, 엔비디아(-1.16%) 등 반도체, 아마존(-1.04%), 알파벳A(-1.40%), 메타(-1.49%) 등 인터넷, 테슬라(-0.50%) 등 전기차 등 M7 관련 테마들이 동반 하락. 비트코인 하락 속 코인베이스(-3.23%) 등 가상화폐 테마도 하락했고, 세일즈포스닷컴(-3.63%) 등 S/W 및 IT 서비스, 페이팔(-2.24%) 등 전자결제, 월트 디즈니(-1.27%) 등 미디어, 비자(-1.24%) 등 카드, 메트라 이프(-0.58%) 등 보험, 홈데포(-0.93%) 등 유통, 페덱스(-1.01%) 등 물류, 델타 항공(-1.20%) 등 항공, 에어비앤비(-0.73%) 등 여행, GM(-1.20%) 등 자동차, 디어(-1.08%) 등 산업재 등의 테마가 하락.
반면,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행정명령을 통해 원전 확대를 적극적으로 밀어붙이면서 오클로(+23.04%), 뉴스케일파워(+19.43%), 카메코(+11.13%) 등 원자력 테마가 급등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US스틸과 일본제철과의 합병을 승인하면서 US스틸(+21.24%)이 급등하는 등 철강 테마도 상승. 이 외 국제유가 상승 속 셰브런(+0.92%) 등 정유, 금 가격 상승 속 뉴몬트(+1.90%) 등 금(金) 테마가 상승했고, BHP(+1.51%) 등 광산, 솔라엣지(+11.78%) 등 신재생에너지, 퓨얼셀 에너지(+19.65%) 등 연료전지, 도미니언 에너지(+1.13%) 등 전력, 코카콜라(+0.89%) 등 음식료, AT&T(+0.70%) 등 통신 등의 테마가 양호한 모습.
반면,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행정명령을 통해 원전 확대를 적극적으로 밀어붙이면서 오클로(+23.04%), 뉴스케일파워(+19.43%), 카메코(+11.13%) 등 원자력 테마가 급등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US스틸과 일본제철과의 합병을 승인하면서 US스틸(+21.24%)이 급등하는 등 철강 테마도 상승. 이 외 국제유가 상승 속 셰브런(+0.92%) 등 정유, 금 가격 상승 속 뉴몬트(+1.90%) 등 금(金) 테마가 상승했고, BHP(+1.51%) 등 광산, 솔라엣지(+11.78%) 등 신재생에너지, 퓨얼셀 에너지(+19.65%) 등 연료전지, 도미니언 에너지(+1.13%) 등 전력, 코카콜라(+0.89%) 등 음식료, AT&T(+0.70%) 등 통신 등의 테마가 양호한 모습.
관련 테마분석
철강 주요종목
철강산업은 건설, 자동차, 조선, 가전, 기계를 비롯한 전 산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대표적인 소재 산업임. 따라서 철강업종은 경기에 민감한 소재주이며,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해 세계 최대 철강 생산 및 소비국인 중국의 경기 및 철강가격에도 민감한 특성을 지님. 아울러 원재료와 환율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며, 세계 철강가격은 철강업종 주가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 |
- 히스토리
☞2025-04-15 韓 대행, '하루이틀새 알래스카 LNG 관련 한미 화상회의 예상' 발언 등에 상승(주도주 : 세아제강, KG스틸,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고려제강) |
☞2025-04-07 전방산업 미국향 수출 감소 우려 등에 하락 |
☞2025-04-02 베트남 정부, 한국산 철강 제품에 반덤핑 관세 부과 소식 및 3월 철강 수출 부진 등에 하락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5-22 미국 20년물 입찰 부진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1.80%) 약세 등에 하락 |
☞2025-05-20 젠슨 황 엔비디아 CEO, AI 생태계 확대 언급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DB하이텍, SK하이닉스) |
☞2025-05-19 반도체 업황 재둔화 우려, 美 어플라이드 반도체 부문 매출 부진 영향 등에 하락 |

IT 대표주
반도체, 디스플레이(OLED 등), 가전 등 국내 대표 IT 기업군.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전자) |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

원자력발전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원자력 육성정책을 발표하면서 생성된 테마. 전세계적인 에너지 수요 증가와 친환경 정책, 경제적인 부분 등을 감안하여 원자력발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최근 해외 국가들이 원자력발전 사업 확대로 정책 기조를 바꾸며 국내 업체들의 해외 원자력발전소 수주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특히, 체코 두코바니 원전 프로젝트 계약,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 등장 및 AI 데이터센터 전력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에너지 부각 등에 따라 원자력발전 테마가 재부각되는 모습. |
- 히스토리
☞2025-05-23 트럼프 대통령, 원전 활성화 '행정명령' 서명 예정 소식에 상승(주도주 : 에너토크, 태웅, 한신기계, SNT에너지, 서전기전) |
☞2025-05-20 독일, 탈(脫)원자력 정책 기조 철회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우리기술, 두산에너빌리티, 우진, 태웅) |
☞2025-05-16 벨기에, 22년 만에 탈원전 폐기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비에이치아이, 우리기술, 한전산업, 수산인더스트리, 한전기술)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실물 형태가 없는 온라인상의 암호화된 디지털통화를 통칭. 물리적 실체가 없다는 점에서 기존 전자 화폐나 사이버머니와 유사하지만, 정부나 금융기관 등의 개입 없이 발행 및 거래가 이루어지며 관리 주체가 없다는 점에서 차별화. 전세계적으로 온라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 가상화폐의 유통 범위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결제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5-12 가상화폐 시장 강세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다날, 매커스, 카카오, 한화투자증권, 제이씨현시스템) |
☞2025-05-09 비트코인 10만달러 회복 속 美 가상화폐 관련주 급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인바이오젠, 위메이드, 컴투스홀딩스, 우리기술투자) |
☞2025-04-10 비트코인 가격 폭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인바이오젠, TS인베스트먼트, 티사이언티픽, 제이씨현시스템) |

아이폰
미국 애플사의 휴대 전화 시리즈로 2007년 첫 출시됐으며, 1년 주기로 신제품을 공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인 아이팟(iPod), 휴대폰, 인터넷 및 이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하며, OS로 iOS라는 독자적인 플랫폼을 사용. 카메라, OLED/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칩셋 및 프로세서(AP), D램, 낸드플래시, 기판과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등 다양한 부품이 적용되고 있으며 관 련 업체들이 관련주로 부각. 아이폰 판매량 및 신제품 공개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4 반도체·스마트폰 등 상호관세 제외, 품목별 관세 적용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이녹스첨단소재, 덕산네오룩스, LG이노텍, 덕우전자, 비에이치) |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아이티엠반도체,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LG화학) |
☞2025-04-09 애플 주가 하락세 지속 속 시가총액 1위 반납 소식 등에 하락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