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챗GPT 아버지' 올트먼 월드코인 운영 잠정 중단

홍채 인식 기반 가상화폐에 당국자 "국민에게 발생할 잠재적 위험 예방 차원"
손현규

입력 : 2025.05.06 09:35:58


월드코인 홍채 스캐너 앞에 줄 선 사람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손현규 기자 = 인도네시아 정부가 '챗GPT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만든 가상화폐 '월드코인'(Worldcoin)의 자국 내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고 AFP 통신이 지난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통신정보부는 4일 월드코인의 의심스러운 활동과 관련한 신고가 잇따라 접수됨에 따라 운영을 일시 정지한다고 밝혔다.

당국이 언급한 신고는 개인정보 수집 우려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렉산더 사바르 통신정보부 디지털공간감독국장은 "이번 조치는 국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월드코인의 현지 운영사 2곳 관계자들도 조만간 불러 자국 내 활동에 관한 설명을 요구할 방침이다.

월드코인은 홍채 인식 기반의 가상화폐로, 챗GPT를 개발한 올트먼이 알렉스 블라니아와 공동 개발해 2023년 7월 정식 출시됐다.

'오브'(Orb)라는 인식 기구를 통해 개인의 홍채를 자료화한 뒤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실제 사람인지 확인되면 '월드 ID'가 생성된다.

이 ID로 가상자산 지갑인 '월드 앱'을 만들어 월드코인을 보관할 수 있다.

지난해 9월 기준 ID 인증 수는 650만건을 넘었고, 월드 ID 사용 국가도 160개국 이상으로 파악됐다.

월드코인은 수집된 데이터가 암호화돼 안전하다고 주장하지만,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이 코인의 운영을 중단했거나 조사에 착수한 국가는 홍콩, 케냐, 스페인, 포르투갈 등 10곳이 넘는다.

월드코인 개발사 '툴스 포 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TFH)는 지난달 30일 미국 시장에도 공식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TFH가 미국에서 사람의 홍채를 수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월드코인은 한국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을 비롯해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와 싱가포르 거래소 비트켓 등에서 거래되고 있다.

so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6 14:2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