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도 소비 상위 20% 시니어는 더 쓴다…외모관리·OTT↑"
신한카드 분석…"액티브 시니어, 핵심 소비층으로 떠올라"
채새롬
입력 : 2025.05.05 07:14:00
입력 : 2025.05.05 07:14:00

연합뉴스TV 캡처.작성 김선영(미디어랩)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고물가와 경기 악화로 노년층의 카드 소비가 줄었지만 상위 20%는 소비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쇼핑, 헬스앤뷰티(H&B) 스토어, 외모관리, OTT 등 주로 젊은층 소비처로 여겨졌던 영역에서 소비가 증가했다.
5일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60세 이상 자사 고객 중 이용 금액 상위 20%를 '액티브 시니어(활동적 장년)'로 규정하고 이들의 소비와 일반 60세 이상 고객의 소비 패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이처럼 밝혔다.
일반 시니어의 신한카드 월평균 이용액은 2022년 6∼11월 53만원에서 2024년 6∼11월 41만원으로 22.6% 감소했으나, 액티브 시니어는 같은 기간 161만원에서 177만원으로 10% 증가했다.
신한카드는 "액티브 시니어는 60~64세 비중이 55%로, 일반 시니어(60~64세 38%)보다 평균 나이가 젊었다"며 "고물가로 인해 소비가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이용액을 꾸준히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액티브 시니어들은 젊은층이 주로 소비하는 온라인 쇼핑몰, H&B스토어, 저가 생활용품숍 이용 건수가 더 많고, 외모 관리에도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액티브 시니어의 작년 온라인 종합몰 이용 건수는 2년 전 대비 76%, 이용 고객 수는 39% 늘어났다.
인당 이용액도 23만7천원에서 25만5천원으로 8%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60세 이상 전체 온라인 종합몰 이용 건수는 13%, 이용 고객수는 7% 늘어나는 데 그쳤고, 인당 이용액은 16만5천원에서 13만원으로 오히려 21.2% 줄었다.

[신한카드 제공]
오프라인에서도 소비 차별화가 이어졌다.
작년 6~11월 기준 액티브 시니어는 H&B 스토어 인당 이용액이 3만6천원으로 일반 시니어 고객(3만원)보다 많았고, 저가 생활용품숍 인당 이용액도 1만5천원으로 일반 시니어 고객(1만3천원)보다 더 많았다.
액티브 시니어의 작년 H&B스토어 이용 건수는 2년 전보다 13%, 저가 생활용품숍 이용 건수는 36% 늘어난 반면 일반 시니어는 같은 기간 증가율이 각각 1%, 23% 수준이었다.
외모 관리 영역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보였다.
액티브 시니어의 미용실 이용 건수는 2년간 27%, 성형외과·피부과는 20%, 피부관리는 18% 늘어났다.
같은 기간 일반 시니어의 이용 건수 증가율은 각각 13%, 11%, 6%에 그쳐 증가율에서 2배가량 차이가 났다.
콘텐츠 소비 영역에서도 일반 시니어는 고물가 영향으로 OTT 유료 서비스 이용 건수가 11%, 이용 금액이 8% 감소한 반면 액티브 시니어는 이용 건수가 9%, 이용금액은 18% 늘었다.
srcha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경기침체 우려 영향없는 크루즈株...“연간 예약률만 86%”
-
2
“엄마, 제 용돈 좀 불려볼게요”...초등학생 우리 아이, 금융 천재된 사연
-
3
“중국은 안돼, 한국만 가능”...미국 장관까지 나서서 구애하는 K조선, 걸림돌 있다는데
-
4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한 작은 위로…신규 창업시 단말기 구입 여기서 하면 소액 지원금
-
5
증평 장뜰들노래축제 내달 7∼8일 개최
-
6
패션업계 경쟁보다 협업…브랜드 간 협업제품으로 고객층 확대
-
7
SKT "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유심 교체 100만명"
-
8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9
트럼프 "中포함 국가들과 협상"…안보보좌관엔 "밀러 유력 고려"(종합)
-
10
[부고] 유복근(한국은행 부국장)씨 부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