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금리만 뚝뚝…은행 예대금리차 '공시 이래 최대' 속출
3월 신한·하나 예대차, 2022년 7월 공시 후 2년9개월새 가장 커4월 5대은행 가계대출 4.5조↑…대출금리 인하 부담에 예대차 더 커질듯
신호경
입력 : 2025.05.05 06:05:00
입력 : 2025.05.05 06:05:00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2024.9.23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기자 = 주요 시중은행 이자 이익의 기반인 예대금리차(대출-예금 금리)가 무려 8개월 가까이 계속 커지고 있다.
일부 은행의 경우 2022년 하반기 공시가 시작된 이래 최대 수준에 이르렀다.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이 들썩이면서 대출 수요 억제 차원에서 가산금리 인하에 제동이 걸렸지만, 예금금리는 시장금리 하락과 함께 계속 추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5대 은행 가계대출 예대금리차 추이(단위: %p) ※ 은행연합회 공시 자료. ※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 등) 제외 | |||||||
'24.7. (C) | '24.12. | '25.1. | '25.2. (B) | '25.3. (A) | A-C | A-B | |
NHs농협 | 0.85 | 1.33 | 1.46 | 1.47 | 1.55 | 0.70 | 0.08 |
신한 | 0.20 | 0.98 | 1.42 | 1.40 | 1.51 | 1.31 | 0.11 |
KB국민 | 0.44 | 1.25 | 1.29 | 1.33 | 1.49 | 1.05 | 0.16 |
하나 | 0.53 | 1.12 | 1.37 | 1.40 | 1.43 | 0.90 | 0.03 |
우리 | 0.15 | 1.16 | 1.34 | 1.30 | 1.38 | 1.23 | 0.08 |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이자 장사를 통한 마진(이익)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38∼1.55%포인트(p)로 집계됐다.
이 예대금리차는 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 등) 상품을 빼고 각 은행이 계산한 결과다.
저소득·저신용 서민 대상의 정책금융 상품의 금리가 높아 이를 많이 취급할수록 예대금리차가 커지는 왜곡 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1.55%p로 가장 컸고, 이어 신한(1.51%p)·KB국민(1.49%p)·하나(1.43%p)·우리(1.38%p) 순이었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3월 예대금리차가 7.17%p로 압도적 1위 자리를 지켰다.
2∼4위의 한국씨티은행(2.71%p)·제주은행(2.65%p)·토스뱅크(2.46%p)·광주은행(2.34%p)도 2%p를 훌쩍 웃돌았다.
5대 은행 1월 가계대출 예대금리차 시계열 특징(단위: %p) ※ 은행연합회 공시 자료. ※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 등) 제외 | ||
은행 | '25. 3월 | 각 은행 내부 시계열 기록 |
신한 | 1.51 | 2022 7월 은행연합회 공시 이후 최대 |
하나 | 1.43 | 2022 7월 은행연합회 공시 이후 최대 |
KB국민 | 1.49 | 2023년 1월(1.51%p) 이후 최대 |
우리 | 1.38 | 2023년 2월(1.46%p) 이후 최대 |
NH농협 | 1.55 | 2023년 12월(1.71%p) 이후 최대 |
은행에 따라 가끔 뒷걸음치는 달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작년 8월 이후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NH농협·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작년 7월보다 현재 0.70%p, 1.31%p, 1.05%p, 0.90%p, 1.23%p나 높아진 상태다.
지난해 3분기 수도권 주택 거래와 관련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당국이 은행들에 대출 수요 억제를 주문했고, 이에 은행권이 8월부터 앞다퉈 가산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금리를 여러 차례 올린 뒤 아직 충분히 내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은행별 시계열에서도 은행연합회 공시가 시작된 2022년 7월 이래 최대 예대금리차 기록이 속출하고 있다.
신한은행(1.51%p)과 하나은행(1.43%p)의 3월 예대금리차는 공시 집계가 존재하는 2년 9개월 사이 가장 컸다.
KB국민은행(1.49%p)의 경우 2023년 1월(1.51%p) 이후 2년 2개월 만에, 우리은행(1.38%p)의 경우 2023년 2월(1.46%p) 이후 2년 1개월 만에 예대금리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NH농협은행의 1.55%p도 2023년 12월(1.71%p) 이후 1년 4개월 내 최대 폭이다.

[은행연합회 공시 화면 캡쳐.재판매 및 DB 금지]
◇ 정기예금 최고금리 2.5%대로 하락…"가계대출 4.5조 급증에 예대차 더 커질수도" 일반적으로 금리 하락기에는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내려 예대금리차가 줄어든다.
하지만 이번 금리 사이클에서는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가 낮아져도 가계대출 급증 걱정에 대출금리가 묶여 있는 상태라 이례적으로 예대금리차가 오히려 커지고 있다.
지난달에도 은행들은 줄줄이 예금금리를 낮췄다.
SC제일은행은 23일 5개 예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0.15%p 낮췄고, 같은 날 카카오뱅크도 정기예금과 자유적금 금리를 0.10∼0.15%p 내렸다.
이보다 앞서 우리은행과 토스뱅크가 15일 예·적금 금리를 0.10∼0.25%p, 0.20%p씩 인하했고, IBK기업은행 역시 16일부터 26개 예·적금, 입출금식 상품의 금리를 0.10∼0.50%p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4일 기준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최고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58∼3.10%로 떨어진 상태다.
2월 말부터 하나둘씩 정기예금 상품 금리가 3%대에서 2%대로 내려앉더니, 약 두 달 만에 2%대 중반까지 떨어졌다.
3%대 금리 상품은 고향사랑기부금 납부 고객에 0.5%p의 우대 금리를 적용하는 'NH고향사랑기부예금'(3.10%)이 유일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3월 주춤했던 은행권 가계대출이 4월 다시 뛰었기 때문에, 특정 은행이 앞장서 대출 가산금리를 낮추기에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며 "당국 반응, 대출 쏠림 현상 등이 우려되기 때문으로, 4월뿐 아니라 5월에도 예대금리차가 뚜렷하게 줄어들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4월 말 5대 은행의 가격대출 잔액(743조848억원)은 3월 말보다 4조5천337억원 급증했다.
2024년 9월(+5조6천29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으로,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3조7천495억원 불었다.
5대 은행 가계대출 추이 (단위 :억원)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자료 취합 | ||||||
2024.11. | 2024.12. | 2025.1 | 2025.2 | 2025.3 | 2025.4 | |
가계대출잔액 | 7,333,387 | 7,341,350 | 7,336,588 | 7,367,519 | 7,385,511 | 7,430,848 |
전월비 증감 | 12,575 | 7,963 | -4,762 | 30,931 | 17,992 | 45,337 |
주택담보대출 잔액 | 5,769,937 | 5,784,635 | 5,799,771 | 5,833,607 | 5,856,805 | 5,894,300 |
전월비 증감 | 13,250 | 14,698 | 15,136 | 33,836 | 23,198 | 37,495 |
신용대출 잔액 | 1,040,893 | 1,036,032 | 1,020,082 | 1,019,589 | 1,016,063 | 1,024,931 |
전월비 증감 | 2,442 | -4,861 | -15,950 | -493 | -3,526 | 8,86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화장품도 나를 표현하는 패션"…키링이나 반지 '립밤 인기'
-
2
창원 대표 음식 아구찜 맛보는 '마산아구데이축제' 10일 개최
-
3
경기도 '기후보험' 신청하세요…말라리아 등 특정 감염병도 대상
-
4
[게시판] 우리은행, 위비프렌즈 활용 어린이 금융교육 콘텐츠 공개
-
5
광주시, 자영업자·소상공인 육아 지원
-
6
SPC 배스킨라빈스, 어린이날 맞아 어린이대공원에 놀이정원 마련
-
7
제주시, 개인지방소득세 합동신고센터 운영
-
8
[속보] SKT "유심 교체 100만명…오늘부터 대리점 신규가입 금지"
-
9
경기침체 우려 영향없는 크루즈株...“연간 예약률만 86%”
-
10
충북도, 일본·대만서 '한류팬' 겨냥 관광객 유치전 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