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하버드대 교수, 차세대 재료 과학자 등 美인재 잇단 중국행(종합)
'미중 패권 경쟁' 中, 해외 이공계 인재 적극 영입…AI 인재도 칭화대 선택
권숙희
입력 : 2025.05.02 20:36:07
입력 : 2025.05.02 20:36:07

[칭화대 선전국제대학원 소셜미디어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서울=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권숙희 기자 = 하버드대에서 퇴임한 60대 나노 과학자와 30대 차세대 재료 과학자 등 미국의 이공계 인재가 잇달아 중국행을 선택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이 국가 차원의 해외 인재 영입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생물학과 의학에서 나노 기술을 통합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해온 찰스 리버(66) 전 하버드대 교수는 중국 명문 칭화대의 광둥성 선전 국제대학원에서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날 대학원 소셜미디어를 통해 밝혔다.
그는 또한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근무하다 지난 2022년 중국에 돌아온 생물학자 니엥 옌이 만든 선전의학과학원에서도 연구를 수행하기로 했다.
리버 교수는 지난 2021년 12월 미국 보스턴 연방법원 배심원단으로부터 중국 '천인계획'과 관련한 허위 진술 등의 혐의에 유죄 평결을 받았다.
그는 2023년 2월 하버드대에서 퇴임했다.
중국 정부가 2008년 12월부터 추진해온 '천인계획'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세계적인 수준의 학자와 교수 1천명을 유치한다는 해외 인재 유치사업이다.
중국 정부는 '외국 기술 인수' 전략의 일환으로 이에 참여하는 해외 과학자들에게 높은 연봉과 주택, 의료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리버 교수는 천인계획 참여 사실을 부인하고, 중국 정부로부터 받은 연구비를 숨긴 채 허위로 소득신고를 한 혐의로 기소됐다.
그는 지난해 SCMP와 인터뷰에서 중국과 홍콩에서 연구 기회를 탐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난징대 쑤저우캠퍼스 홈페이지 캡처.재판매 및 DB금지]
또 미국 미시간대에서 활동하던 30대 재료 과학자 리융시는 최근 중국 난징대 쑤저우캠퍼스 기능성 재료 및 지능형 제조 연구소의 부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난징대에서 투명 태양광 기술과 웨어러블 의료기기 개발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난징대 쑤저우캠퍼스는 홈페이지를 통해 리 교수를 소개하면서 '국가 고급 청년 해외 인재'라고 명시했다.
이는 그가 '천인계획'의 일환으로 영입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하이 화동이공대 박사학위를 받은 리 교수는 미국에서 특허를 10건 출원했고 이 중 3건은 기술 이전에도 성공했다.
그는 미시간대에서 '과학 탐구상'을 수상하고, '우수 과학자'로도 지명되는 등 실력을 인정받았다.
주목받는 인공지능(AI) 과학자인 알렉스 램 또한 올해 가을학기에 칭화대 AI대학원 조교수로 부임할 예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구글 딥마인드 등 미국 주요 빅테크에서 두루 경력을 쌓으며 한때 중국의 AI 발전 수준을 낮다고 평가했던 그가 이제는 중국 칭화대에 합류해 대학원생을 받을 예정이라고 SCMP는 전했다.

[SCMP 캡처.재판매 및 DB금지]
xing@yna.co.kr suki@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대법관 10명 탄핵” 주장까지 나온 민주당…이재명 지키기에 총력전
-
2
미 S&P500지수 9거래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이전 수준으로(종합)
-
3
“이거 하나면 든든하죠”…무조건 사야한다는 이것, 도대체 뭐길래
-
4
주유소 기름값 이번주 하락세 주춤…"다음주 상승 전환할듯"
-
5
'총선 승리' 캐나다 카니 총리, 6일 트럼프와 정상회담
-
6
'관세 무풍' 넷플릭스 주가, 11거래일 연속 올라 사상 최고치
-
7
얼어붙은 美中관계에 '쇄빙선' 될까…"中, 마약 대화 제안 검토"
-
8
'웰 컴투 옹기마을' 25년째 맞은 울산옹기축제 개막
-
9
"국내 최대 옹기축제로 옹기 가치 알리고 명성 이어가겠다"
-
10
아마존 창업자 베이조스, 향후 1년간 6.6조원 규모 주식 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