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실채권 매각 8.3조 역대 최대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입력 : 2025.04.10 17:41:12 I 수정 : 2025.04.10 17:45:10
기업대출 부실 우려 커져



작년 국내 은행들이 자산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매각한 부실채권(NPL) 규모가 8조3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요 원인은 고금리와 경기 둔화로 분석된다. 특히 기업여신 부문이 전체 부실채권에서 80%를 차지해 구조적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정KPMG가 10일 발간한 '부실채권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4조5000억원(신용카드 부문 제외)이다. 2022년 말(10조1000억원) 이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기업여신 부실채권이 11조7000억원으로 1년 만에 30% 늘어난 가운데 가계여신도 2조6000억원으로 13% 증가한 탓이다. 국내 은행들은 자산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2023년부터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처분했고, 지난해 연간 매각 규모만 8조3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였다.

이러한 기업여신 중심의 부실채권 확대는 은행권 전반의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2024년 4분기 말 기준 국내 은행 연체율은 0.44%로 연말 연체 채권 정리 등 영향으로 전 분기(0.45%) 대비 하락했지만 전년 동기(0.38%)에 비해서는 0.06%포인트 상승했다. 비은행권 금융사는 연체율이 더 빠르게 상승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비은행권의 기업대출 연체율(6.4%)은 전년 동기(4.23%) 대비 2.17%포인트 상승했다.

[권오균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8 16:1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