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만 9% 韓 6% 中도 보합...亞 증시 급등에도 소비심리 위축 우려 여전
이동인 기자(moveman@mk.co.kr)
입력 : 2025.04.10 16:20:44 I 수정 : 2025.04.10 16:24:57
입력 : 2025.04.10 16:20:44 I 수정 : 2025.04.10 16:24:57
중국을 제외한 관세 유예라는 카드를 꺼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마디에 동아시아 주요 증시가 출렁거렸다. 코스피와 코스닥도 6% 안팎의 급등을 했지만 일본 니케이와 대만 가권 지수 보다는 반등 폭이 크지 않았다.

미 관세전쟁 컴퓨터그래픽(CG). 연합뉴스 10일 코스피는 전일 종가와 비교해 151.36포인트(p)(6.60%) 상승한 2445.06으로 마감했다. 코스닥은 전일 대비 38.40p(5.97%) 상승한 681.79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일 오후 3시 30분 종가 대비 27.7원 내린 1456.40원에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지수와 대만 가권지수도 9% 넘게 폭등했다, 니케이는 9.13% 대만 가권은 전일 대비 9.25% 올랐다. 특히 급락했던 중국 증시도 이날 상승했다. 홍콩 항셍 지수는 2.30%올랐고 상하이종합도 전일 대비 1.03% 올랐다.
각국의 상승 폭은 그동안 주가 하락의 폭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일본과 대만 증시가 국내 증시 보다 큰 폭으로 빠지면서 급등 폭도 컸다. 중국은 전체적인 관세 유예에 따라 트럼프 정부가 협상의 여지를 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증권가에서는 악화된 미국과의 관계가 지속되면 중화권 증시 부진과 함께 소비심리에까지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미국 관세 리스크 일시적 해소와 달리 각국은 물론, 산업과 생산기지의 분포 관세의 영향 등에 따라 증시는 앞으로도 요동칠 것으로 관측된다.

일본 니케이지수와 대만 가권지수도 9% 넘게 폭등했다, 니케이는 9.13% 대만 가권은 전일 대비 9.25% 올랐다. 특히 급락했던 중국 증시도 이날 상승했다. 홍콩 항셍 지수는 2.30%올랐고 상하이종합도 전일 대비 1.03% 올랐다.
각국의 상승 폭은 그동안 주가 하락의 폭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일본과 대만 증시가 국내 증시 보다 큰 폭으로 빠지면서 급등 폭도 컸다. 중국은 전체적인 관세 유예에 따라 트럼프 정부가 협상의 여지를 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증권가에서는 악화된 미국과의 관계가 지속되면 중화권 증시 부진과 함께 소비심리에까지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미국 관세 리스크 일시적 해소와 달리 각국은 물론, 산업과 생산기지의 분포 관세의 영향 등에 따라 증시는 앞으로도 요동칠 것으로 관측된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중기부, 추경예산안 5조원 편성
-
2
서부T&D,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3
금감원, 스맥·이브이첨단소재 유상증자에도 제동
-
4
日 SBI홀딩스, 캐나다교직원연금 지분 매입해 교보생명 2대주주 된다
-
5
연이은 중국 때리기에 韓 해운사 반사이익 누리나
-
6
오스테오닉(226400) 소폭 상승세 +5.45%
-
7
인스코비(006490) 소폭 상승세 +3.52%
-
8
극과 극 헬스케어 주가…유나이티드헬스 22% 폭락, 일라이릴리 14% 올라
-
9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 프로그램 매매동향
-
10
美 핵심 희토류 업체, 中 수출 중단에 4.5%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