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시가총액 2위로 밀렸다… 관세 우려에 직격탄
입력 : 2025.04.09 16:19:40
MS에 시가총액 1위 내줘
생산·매출 모두 중국 의존도 높아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 여파로 애플이 나스닥 시가총액 2위로 밀려났다. 반면에 중국 의존도가 낮은 마이크로소프트는 하락폭이 점차 둔화하면서 애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4.98% 급락한 172.42달러로 마감했다. 이에 따라 애플의 시가총액은 2조5928억달러(약 3848조원)로 쪼그라들었다.
반면 같은 날 마이크로소프트(MS)는 주가가 0.92% 하락하는 데 그쳤다. 이에 MS의 시가총액은 2조6358억달러(약 3912조원)로 애플을 추월했다.
애플의 주가 급락은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4%에 이르는 고율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중국이 오는 10일부터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등 3차 보복 조치를 발표한 데에 따른 것이다.
이번 조치로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주력 제품들이 대부분 가격 인상과 수요 둔화가 불가피해진 것이다.
애플은 전체 제품의 약 95%를 중국 본토에서 생산할 정도로 중국은 애플의 핵심 생산기지이자 최대 시장이다. 실제로 애플은 중국 선전, 청두 등지에 폭스콘, 페가트론 등 주요 협력업체들로부터 제품을 공급받고 있다.
현재 애플은 인도와 베트남 등 다른 국가에서도 제품을 공급받고 있지만 중국보다는 그 비율이 훨씬 낮다.
가령 인도에서는 아이폰 전체의 약 10~15%를 생산하고 있고, 베트남 공장에서는 에어팟·애플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를 주로 만드는 데 그친다.
또한 중국은 지난 한 해 애플의 총매출 3910억달러 중 약 17%인 670억달러를 차지할 정도로 큰 시장이기도 하다.
하지만 미·중 갈등이 계속되면 중국 소비자조차 애플에 등을 돌리고 샤오미·화웨이 등 자국 제품 소비에 나설 수 있는 만큼 아이폰 판매량이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업모델을 갖고 있어 관세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투자자들은 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주력 제품은 윈도우, 오피스, 클라우드 컴퓨팅 등 제조업이 아닌 서비스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는 자동차, 철강, 전자기기 같은 제품에 적용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서비스 분야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로 2024년 회계연도 기준으로 MS의 하드웨어 매출은 47억 달러였는데, 이는 전체 2450억 달러의 1.9%에 불과하다.
또한 MS의 중국 매출 비중은 전세계의 1.5%에 불과한 만큼 중국이 미국 소프트웨어에 보복 조치를 감행하더라도 실적에 영향을 주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게다가 MS는 중국 내 합작 회사인 위크리소프트(Wicresoft)에서 2000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운영을 중단하는 등 이미 사업 축소에 나서는 상황이다.
이에 애플 또한 올해 말까지 아이폰의 인도 생산 비중을 25%까지 늘리고, 인도네시아 바탐·반둥 등지에 공장을 건설하는 등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당분간 미·중 갈등이 격화함에 따라 투자자 우려는 계속될 전망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트럼프 1기 당시와 달리 협상을 통해 미·중 갈등 해소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최근 위안화 가치 급락은 중국이 환율 전쟁에 나서면서 미-중 갈등이 더욱 격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내다봤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덕수 대선 출마설’에 최상목 부총리, 미국서 한다는 말이…
-
2
테슬라·팔란티어 고배당 커버드콜 ETF 수익률이 왜 이래?
-
3
김병환 금융위원장 “벤처펀드 위험가중치 완화 검토”
-
4
“AI 통해 생산성 제고하는 中…미중 AI기술 블록화 대응해야”
-
5
[단독] “애 낳는 걸 눈치봐야 하나요”...역시 대기업 소리가 절로 나오는 육아휴직 사용률
-
6
'트럼프 IMF서 발 뺄까' 우려했던 국제사회 안도
-
7
자신감 회복한 ‘돈나무 언니’ ··· “2030년 비트코인 최소 30만 달러 간다”
-
8
이복현 “민주당 입당할 일 없다...한화에어로, 제일 큰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 고쳐매”
-
9
성수동에 MZ 몰리는 핑크 건물…롬앤 1호 매장 문 열었다
-
10
'4대 그룹 유일 공채' 삼성, 이틀간 '삼성고시' GSAT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