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입력 : 2025.04.08 11:14:29
제목 :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특징종목이슈요약
한미약품
(128940)
차세대 항암 신약 바이오마커 발굴 소식 및 하반기 실적 성장 가시화 전망 등에 강세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차세대 표적항암 혁신신약 ‘EZH1/2 이중 저해제(HM97662)’의 환자 맞춤형 치료를 위한 신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며 임상 유효성을 높일 연구근거를 마련했다고 밝힘. 동사는 현지시간으로 2일부터 4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제24회 바이오 IT 월드 콘퍼런스 & 엑스포(2025 Bio-IT World Conference & Expo)’에 참가해 HM97662에 관한 연구 성과를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으며, 학회에서 생물정보학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전략을 통해 EZH1/2 이중 저해제개발 과정에서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고 적합한 환자를 선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하반기부터 실적 성장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 특히, 연결 매출액은 국내 만성질환치료제 중심의 견조한 처방의약품 성장과 북경한미 실적 회복으로 전년 대비 8.0% 성장이 전망되며, 북경한미 실적 성장과 바이오플랜트 가동률 상승으로 연결 영업이익 2,414억원(+11.7% YoY, OPM 14.9%)으로 추정.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340,000원[신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 축소 등에 상승
▷유상증자결정 정정공시(유상증자 발행조건 변경). 지난달 발표한 유상증자 규모를 기존 3.60조원 규모에서 2.30조원으로 축소했음. 언론에 따르면, 축소된 1.30조원 규모의 자금 확보는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추진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동사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2025년 사업연도 연결 기준 매출액 30.00조원, 영업이익 3.00조원 전망 공시.
▷전일 장 마감 후 Huta Stalowa Wola S.A.와 4,025.7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58%) 규모 공급계약(폴란드 K9 자주포 차체 수출사업) 체결(계약기간:2025-04-07~2031-12-31) 공시.
대웅제약
(069620)
고대 안암병원과 'AI 신약 개발' MOU 체결 소식 및 '펙수클루'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연구부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AI 신약 개발 및 연구에 필요한 기술과 자원 공유, 유전체 데이터, 생체 데이터, 임상 데이터 등의 제공 및 활용을 위한 상호 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으로 전해짐.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국산 신약 '펙수클루'가 2022년 7월 출시 이후 출시 3년차인 지난해 연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으며, 올해는 최근 위염 적응증 건강보험 급여 적용이라는 새로운 동력을 얻어 연매출 1,500억원 이상을 달성하는 게 목표인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펙수클루'를 인도 시장에 정식 출시했다고 밝힘. 국산 P-CAB 제제(칼륨 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가 인도에 출시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며, 이로써 '펙수클루'는 한국과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서 판매하게 됐음.
SK바이오팜
(326030)
견조한 성장세 지속 전망 및 관세 우려 과다 분석 등에 상승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약 1,585억원(+39.0% YoY), 약 371억원(+261.5% YoY, OPM 23.4%)를 달성하여 컨센서스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어 2025년은 동사의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극대화되는 해로 광고 선전비 확대 및 R&D 비용 투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US 엑스코프리 성장 및 고환율 효과를 바탕으로 연간 매출액 6,944억원(+26.8% YoY), 영업이익 1,544억원(+60.4% YoY, OPM 22.2%)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아울러 트럼프는 의약품 관세에 대하여 추후 별도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밝혔지만, 동사는 변화하는 국제 정세에 대비하고자 선제적으로 미국 내 위탁생산시설(CMO)에 대하여 신약 생산 변경 FDA 승인을 획득했다고 언급. 미국 CMO 시설의 service fee는 기존 캐나다 CMO 대비 비교적 높은 수준일 것으로 추정되나, 엑스 코프리의 매출 원가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관세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
유한양행
(000100)
'렉라자' 병용 항암제 피하주사 제형 유럽 승인 및 면역항암제 신약 'YH32364' 임상 1/2상 식약처 승인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해외 제품명 라즈클루즈) 병용 항암제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의 피하주사(SC) 제형이 유럽에서 승인된 것으로 전해짐. 리브리반트 편의성 개선으로 렉라자 병용 요법의 글로벌 처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유럽위원회(EC)는 최근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중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변이를 가진 성인환자 치료를 위해 아미반타맙의 SC 제형을 승인했으며, 아미반타맙을 보유한 존슨앤드존슨은 이번 승인으로 피하 주사형이 환자들에게 더 편리한 투여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치료 경험을 향상할 것으로 전망했음.
▷아울러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면역항암제 신약으로 개발 중인 'YH32364'의 임상 1·2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힘. YH32364는 2018년 동사가 에이비엘바이오로부터 기술 도입한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으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와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임. 동사는 이번 임상을 통해 EGFR 과발현이 확인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YH32364를 투여한 후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할 예정.
대동
(000490)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중장기 농업 협력 방안 논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우크라이나 농업정책식품부 장관과 화상 회의를 통해 현지 재건을 위한 중장기 농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힘. 동사는 현지에 자사 100~140 마력대 HX, PX 트랙터 8대를 기증하기로 결정했으며, 우크라이나 농업의 무인화를 위한 상호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논의는 동사의 첨단 기술로 우크라이나 농업의 현대화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와의 협력을 통해 농기계 무인화와 자율주행 기술을 실질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동사가 재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힘.
한국콜마
(161890)
Sun 수주 강세 지속 및 관세 수혜 모멘텀 부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반기 Sun 수주 강세 지속 및 미국 2공장 가동에 따른 관세 수혜 모멘텀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 특히, 전통의 Sun케어 수주 강자로서 별도법인의 2분기 영업마진이 연중 가장 높아지는 특성이 있으며, 올해 상반기 역시 Sun 수주 강세 지속과 더불어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전망. 1분기 별도 매출액/영업이익을 2,914억원/321억원(OPM: 11.0%), 2분기 별도 매출액/영업이익을 3,577억원/526억원(OPM: 14.7%)으로 추정.
▷아울러 미국 2 공장이 올해 2분기부터 본격 가동되면 미국 연간 CAPA는 현재 6,800만개에서 약 1.9억개 수준으로 대폭 늘어나게 되며, 향후 가동률 상승과 수주 증가에 따라 미국 공장의 중장기 수익성 향상은 지켜봐야 할 문제지만, 최근 미국의 26%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동사의 미국 2공장이 단기적으로 고객사를 추가 확보하는데 탄력이 붙게 된 것은 분명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8,000원 -> 84,000원[상향]
삼성전자
(005930)
1분기 잠정실적 호조 등에 소폭 상승
▷25년1분기 잠정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9.00조원(전년동기대비 +9.84%), 영업이익 6.60조원(전년동기대비 -0.15%). 이는 증권가 컨센서스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임.
▷이와 관련, 메리츠증권은 영업이익이 시장 컨센서스 5.5조원을 상회했으나, 반도체 이익 기대감이 극도로 낮은 기저효과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스마트폰 출하에 기반해 시장 눈높이를 상회했다고 밝힘. 부문별 영업이익의 경우 금일 잠정실적에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당사는 DS(반도체) 0.8조원, SDC 0.5조원, MX/NW 4.4조원, VD/가전 0.5조원, 하만/기타 0.4조원으로 추정.
현대로템
(064350)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 매출액은 1조 2,230억원(+63.5% YoY), 영업이익은 2,086억원(+366.8% YoY, OPM 17.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컨센서스와 비교해 영업이익이 11.3% 상회하는 것으로, 폴란드 폴란드 K2 전차 26대를 인도하면서 납품을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
▷아울러 과거 디스카운트 주요 원인은 폴란드 1차 계약 이후 수출 파이프라인 부재였지만, 2차 계약 가시성이 높아졌고, 중동과 유럽을 중심으로 수출 시장이 확장되었다고 언급. 또한, 폴란드 매출의 높은 이익률을 기반으로 2025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87.1% 증가하며, 업종 내 가장 높은 수준의 이익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8,000원[유지]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현대로템 USA와 1,442.3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3%) 규모 공급계약(미국 MBTA 이층객차 사업 추가 물량 및 예비품) 체결(계약기간:2025-04-07~2028-09-15) 공시.
카카오
(035720)
1분기 실적 부진 및 올해 실적 개선폭 제한적 전망 등에 소폭 하락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5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94조원(-2.7% YoY, -1.1% QoQ)과 965억원(-19.7% YoY, +28.0% QoQ)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1,088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광고가 비수기이며 DA 광고의 부진이 1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언급. 콘텐츠 매출액은 8,840억원(-14.5% YoY, -2.8% QoQ)으로 추정한다며, 1분기에도 모든 콘텐츠 사업부가 전년대비 역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추정.
▷아울러 올해 실적 개선 폭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콘텐츠 사업부가 역성장을 이어가고 있는데 현 시점에서는 특별한 해결책이 나오기 힘들다고 분석. 하반기부터 성과가 확인될 카카오톡 개편에 따른 디스플레이 광고 인벤토리 확대 효과는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은 만큼 큰 폭의 실적 증가는 어렵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9,000원[유지]
NAVER
(035420)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실적 기여 시점 지연 전망 등에 하락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 3월 출시한 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의 본격적인 실적 기여 시점을 올해 2분기에서 하반기로 변경함에 따라 2025E, 2026E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3.6%, 6.0%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은 지난 3월12일 안드로이드, 3월19일 iOS 버전이 출시되어 4월4일 기준 누적 다운로드 수 298만 건을 기록하고 있는데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3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MAU는 268만명으로 쿠팡 3,292만명, 11번가 870만명, 알리익스프레스 712만명 대비 다소 아쉬운 수치라고 설명.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조 7,923억원 (+10.5% YoY, -3.2% QoQ), 영업이익은 4,965억원 (+13.0% YoY, -8.4% QoQ, 영업이익률 17.8%)을 기록하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5,218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네이버 앱 정식 개편이 온기 반영된 1Q24부터 DA 부문의 높은 기저가 적용되고, 정치적 이슈가 소비 심리를 악화시키며 광고 업황 부진이 이어져 서치플랫폼 매출액은 7.9% YoY (SA +7.2% YoY, DA +7.5% 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비용단에서는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 론칭으로 마케팅 비용이 16.8% YoY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0,000원 -> 260,000원[하향]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6 15:30
한미약품 234,500 4,500 -1.88%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7 04:2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