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스케일업 팁스 일반형 지원계획 공고…"R&D 자금 지원"
"10억원 이상 투자 유치 시 정부가 최대 12억원 지원"
차민지
입력 : 2025.04.07 06:00:02
입력 : 2025.04.07 06:00:02

(서울=연합뉴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7일 서울 강남구 라움아트센터에서 열린 '팁스 넥스트 앤'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2024.11.27 [중소벤처기업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도전과 혁신, 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한 '2025년 스케일업 팁스(일반형) 기업 지원계획'을 공고한다고 7일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본격적인 성장단계의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운영사로부터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면 정부가 연구개발(R&D)을 3년간 최대 12억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후속투자 유치 등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는 모태펀드에서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최대 20억원을 지원한다.
중기부는 트랙을 세분화해 스케일업 팁스를 일반형과 글로벌 트랙으로 구분했다.
신설된 글로벌 트랙은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한 기업에 3년간 최대 15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이 강화된 만큼 일정액 이상의 해외투자 유치 등 일반형보다 강화된 요건이 부여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일반형 과제는 102개로, 초격차 10대 분야,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탄소중립분야 등 전략기술 기반의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한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전략분야의 R&D 수행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존 24개 운영사 컨소시엄 중 해당 분야의 발굴 실적과 R&D 지원역량이 뛰어난 운영사를 '특화 운영사'로 지정한다.
운영사별로 기업의 R&D 수행을 지원할 전담 코디네이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컨소시엄 구성의 추가·변경도 가능하다.
운영사에 대한 평가, 인센티브 체계도 실질적인 스케일업 지원 실적을 중심으로 개선된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존에는 운영사로부터 선행 투자를 받아 R&D 또는 지분투자 중에서 지원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으나 올해부터는 R&D를 먼저 수행한 이후 기업의 성장에 맞추어 지분투자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개편된다.
상세한 내용은 오는 14일 오후 2시부터 온오프라인 사업 설명회를 통해 안내된다.
사업 참여에 관심이 있는 기업은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나 전담 부서에 직접 문의하면 된다.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연계 투자 방식을 성과와 연동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제도를 개선했다"고 말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스케일업 팁스를 통해 379개 기업에 민관을 통틀어 1조5천억원의 자금이 투입됐다.
이 중 민간 운영사의 선행투자 규모는 5천833억원에 달한다.
선정기업 중 11개사는 벤처캐피탈 등으로부터 5천567억원의 후속 투자를 유치했다.
chach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