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유가] 소비심리는 꺾이고 인플레는 뜨겁고…WTI 0.8%↓
국제뉴스공용1
입력 : 2025.03.29 04:52:40
입력 : 2025.03.29 04:52:40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유가가 약세를 보였다.
미국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끈적한 가운데 소비심리와 기대 인플레이션이 다시 악화하면서 원유에 대한 수요도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유가를 눌렀다.
*그림*

미국 LA의 한 주유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2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56달러(0.80%) 밀린 배럴당 69.3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40달러(0.54%) 하락한 배럴당 73.63달러에 마무리됐다.
소비심리가 꺾이고 물가 전망은 뜨거워지면서 이날 증시는 급락세다.
나스닥종합지수는 이날 오후 3시 30분 현재 2.90% 떨어지고 있다.
유가도 전반적인 투자 심리 악화에 발맞춰 매도 우위였다.
소비심리가 약해지면 그만큼 원유 수요도 약해질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는 예상치를 웃돌며 전월 대비 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시장 예상치 0.3% 상승을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2.8% 오르며 예상치 2.7% 상승을 웃돌았다.
특히 미국 가계의 PCE가 예상치를 밑돌며 저조했다는 점이 경제 전망을 어둡게 했다.
2월 PCE는 전월 대비 0.4% 증가해 시장 예상치 0.5% 증가를 밑돌았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PCE는 전월 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쳐 예상치 0.3% 증가에 마찬가지로 못 미쳤다.
르네상스 매크로의 닐 두타 리서치 총괄은 "소비자는 가격 인상에 저항하고 있다"면서 "근원 인플레이션은 견고해졌고 실질 소비는 여전히 부진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인들의 소비심리가 더 나빠진 점도 위험 회피 심리를 부추겼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57.0으로 집계됐다.
2022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앞서 발표된 3월 예비치 57.9보다 더 악화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들어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
1월의 71.7에서 2월 64.7로 내려앉은 데 이어 3월에는 57.0까지 하락하며 불과 두 달 사이 14.7포인트 급락했다.
반면 기대 인플레이션은 더 오르며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물가 상승 동시 발생) 우려가 확산했다.
3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022년 11월 이후 최고치인 5.0%까지 상승했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2월 3.5%에서 3월 4.1%로 오르며 1993년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jhjin@yna.co.kr(끝)
미국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끈적한 가운데 소비심리와 기대 인플레이션이 다시 악화하면서 원유에 대한 수요도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유가를 눌렀다.
*그림*

[연합뉴스 자료사진]
2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56달러(0.80%) 밀린 배럴당 69.3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40달러(0.54%) 하락한 배럴당 73.63달러에 마무리됐다.
소비심리가 꺾이고 물가 전망은 뜨거워지면서 이날 증시는 급락세다.
나스닥종합지수는 이날 오후 3시 30분 현재 2.90% 떨어지고 있다.
유가도 전반적인 투자 심리 악화에 발맞춰 매도 우위였다.
소비심리가 약해지면 그만큼 원유 수요도 약해질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는 예상치를 웃돌며 전월 대비 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시장 예상치 0.3% 상승을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2.8% 오르며 예상치 2.7% 상승을 웃돌았다.
특히 미국 가계의 PCE가 예상치를 밑돌며 저조했다는 점이 경제 전망을 어둡게 했다.
2월 PCE는 전월 대비 0.4% 증가해 시장 예상치 0.5% 증가를 밑돌았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PCE는 전월 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쳐 예상치 0.3% 증가에 마찬가지로 못 미쳤다.
르네상스 매크로의 닐 두타 리서치 총괄은 "소비자는 가격 인상에 저항하고 있다"면서 "근원 인플레이션은 견고해졌고 실질 소비는 여전히 부진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인들의 소비심리가 더 나빠진 점도 위험 회피 심리를 부추겼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57.0으로 집계됐다.
2022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앞서 발표된 3월 예비치 57.9보다 더 악화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들어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
1월의 71.7에서 2월 64.7로 내려앉은 데 이어 3월에는 57.0까지 하락하며 불과 두 달 사이 14.7포인트 급락했다.
반면 기대 인플레이션은 더 오르며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물가 상승 동시 발생) 우려가 확산했다.
3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022년 11월 이후 최고치인 5.0%까지 상승했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2월 3.5%에서 3월 4.1%로 오르며 1993년 이후 가장 큰 월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jhji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4월 2일 눈뜨기 무섭다”...벌써 공포에 떠는 전세계 증시, 트럼프가 무슨 일이
-
2
애니젠, 에이치엘비펩 주식회사로 상호변경 예정
-
3
중앙첨단소재, 이니텍(주) 주식 취득 결정
-
4
[단독] ‘퍼주기 논란’ 불거진 K원전...체코 원전 수주 절반의 성공?
-
5
'마지막 판자촌' 강남 구룡마을, 3800세대 자연친화 주거단지로
-
6
ECB 총재, 美 관세 위협에 "유럽 경제 독립해야"
-
7
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
8
[인사] HS화성
-
9
증권가 “경영승계 계획적” 의구심
-
10
‘젖과 꿀이 흐르는 땅’ 포기한 한국...원전계획 많은 유럽 ‘그림의 떡’인 까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