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5.02.04 11:15:34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양자암호/양자컴퓨팅, 의료AI,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바이오인식(생체인식), 화이자(PFIZER), 온디바이스 AI, mRNA(메신저 리보핵산), 카메라모듈/부품, LED장비, 키오스 크(KIOSK), 뉴로모픽 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장비, 항공기부품,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PCB(FPCB 등), 2차전지(전고체), 전선,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
약세 테마요소수, 희귀금속(희토류 등), 자전거, LPG(액화석유가스),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탄소나노튜브(CNT), 윤활유, 렌터카, 니켈, 시멘트/레미콘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양자암호/양자컴퓨팅빌게이츠, 양자컴퓨터 3~5년 내 상용화 가능성 발언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가 이르면 3년 내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전망한 것으로 전해짐. 빌 게이츠는 3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 팟캐스트에 출연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대해 "젠슨황이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앞으로 3~5년 안에 이러한 기술 가운데 하나가 매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큐비트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힘. 이어 “마이크로소프트가 그 분야의 경쟁자”라고 강조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양자 기계를 공동 설계 및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말 출시될 예정”이라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한국첨단소재, 아이씨티케이, 코위버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의료AI/ 의료기기샘 올트먼 오픈AI, 의료용 챗GPT 개발 검토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의료용 챗GPT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짐. 올트먼 CEO는 이날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 참석해 “우리는 의료 그룹이 모든 오픈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기업용 제품에 대해 HIPAA(미국 건강 보험 관련법)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좋은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온코크로스, 딥노이드, 코어라인소프트, 셀바스헬스케어, 토마토시스템, 신테카바이오 등 의료AI/의료기기 테마가 상승.
반도체/자동차/2차전지/IT 대표주트럼프 대통령, 멕시코·캐나다 관세 조치 1달 유예 소식에 상승
▷전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조치 발효를 하루 앞두고 멕시코에 대한 관세 조치를 한 달 유예한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대화했고, 우리는 멕시코에 오는 4일부터 부과할 관세를 1개월 동안 즉시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힘.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관세가 한 달 동안 보류됐다"면서 관세 부과 유예 합의와 더불어 마약 및 중무기 밀매 차단을 위해 양국이 노력하기로 합의한 내용도 공개했음.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 대해서도 부과하기로 했던 관세를 3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음. 트뤼도 총리는 전화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마약 문제 담당 '펜타닐 차르' 임명, 국경 강화 계획에 13억 달러 투입, 국경 지역에 마약 차단을 위한 인력 1만 명 투입 등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관세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인텍플러스, 피에스케이홀딩스 등 반도체 관련주, 현대차, 기아, HL만도, 모베이스, 성우하이텍, 한국무브넥스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 에코프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에코프로머티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삼성에스디에스, LG디스플레이, LG전자 등 IT 대표주 등이 상승. 한편, 삼성전자는 이재용 회장이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AI 챗봇(챗GPT 등)샘 올트먼 오픈AI CEO 방한 및 딥시크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이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약 1년 만에 한국을 찾은 가운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등을 만나 인공지능(AI) 관련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 올트먼 CEO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리는 카카오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정 대표와 함께 AI 사업 협업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며, 삼성전자 경영진과는 AI 반도체 협업, AI 전용 단말기 개발에 구체적인 논의가 있을 전망임.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지난 20일(현지시간) 복잡한 추론 문제에 특화한 AI 모델 'R1'을 새롭게 선보인 가운데, 딥시크의 AI 모델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 최신 AI 모델 '라마3' 모델에 쓴 비용의 10분의 1 수준으로 챗GPT 등과 비슷한 성능을 보였으며, AI 모델 훈련에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출시한 H800 칩이 사용됐음.

▷또한, 딥시크 앱 주간 사용자 수가 12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음.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전일 발표한 지난 달 4주 차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생성형 AI 앱' 통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주간 사용자 수 121만명으로 1위(493만명)인 챗GPT에 이어 2위를 차지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코난테크놀로지, 브레인즈컴퍼니, 폴라리스AI, 솔 트룩스, 에스피소프트 등 AI 챗봇(챗 GPT 등)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LIG넥스원 어닝 서프라이즈 영향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7조원(전년대비 +41.95%), 영업이익 2,308.62억원(전년대비 +23.86%), 순이익 2,168.48억원(전년대비 +23.94%).

▷신한투자증권은 LIG넥스원에 대해 지난해 실적은 사업분야 전반의 매출 증대 및 이에 따른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증가했다고 분석. 아울러 4Q24 연결 잠정실적은 매출액 1조 1,687억원(+72%, 이하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628억원(+70%), 영업이익률 5.4%(-0.1%p)를 기록하며,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35%, 영업이익 +19%(컨센서스 529억원), 영업이익률 -0.7%p의 호실적을 달성했다고 언급. 특히, 지난해 4분기 매출 급증은 국내 사업, 인도네시아 프로젝트의 인식 증가 영향이라고 판단된다고 분석.

▷아울러 올해에도 외형 성장이 지속되며, 수출 비중 증가와 저마진 인도네시아 프로젝트 비중 감소, 이외 상대적으로 마진이 높은 지역의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LIG넥스원, 엠앤씨솔루션, 웨이브일렉트로, 코츠테크놀로지, RF머트리얼즈, 현대로템, 파이버프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트럼프,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 속 中 관세 유예 가능성 등에 하락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중국에 대해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관세를 부과한다고 했지만, 지난밤 관세 발표 직전 캐나다와 멕시코 정상과 통화하면서 30일 동안 관세를 유예한다고 밝힘. 이에 시장에서는 중국에 대한 관세도 유예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서 “아마 24시간 내로 대화할 것”이라며 “우리는 우리나라에 펜타닐이 들어오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한 바 있음.

▷한편, 현지시간으로 3일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3,000억달러(약 440조원) 가까이 지원했다"며,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원한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우크라이나에는 매우 귀중한 희토류가 있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보장하고 우크라이나로부터 희토류 등을 제공받는 거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이 일부 완화되며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 동국알앤에스, 티플랙스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2.04 14:42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4 15:0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