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늪에 빠진 건설…작년 4분기 10%↓, 금융위기 후 최대 낙폭

3개 분기 연속 감소 흐름 이어져…연간 건설기성도 4.9% '마이너스'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회복세…'시차' 고려하면 상반기도 부진 전망
박재현

입력 : 2025.02.04 06:07:00


건설현장(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건설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지난해 4분기 건설 실적이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 공사에 반영되는 시차를 고려하면 올해에도 건설 불황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건설기성액(불변)은 30조4천492억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10.1%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15.3%) 이후 같은 4분기 기준 16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전체 분기를 통틀어서도 2011년 1분기(-11.1%) 이후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건설기성은 지난해 1분기 4.1% 증가한 이후 2분기(-3.0%)와 3분기(-9.6%)에 이어 3개 분기 연속 감소 중이다.

전분기 대비로도 3분기째 감소하는 흐름이다.

공사 종류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건축은 11.4% 감소했고, 토목도 6.7% 줄었다.

건설은 3분기 연속 감소, 토목은 2023년 2분기 이후 6개 분기 만에 감소 전환이다.

4분기 건설업 침체의 골이 깊어지면서 연간 건설기성도 전년보다 4.9%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지난해 건설업 취업자 역시 1년 전보다 5만1천명(2.7%) 줄며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2024년 9월 산업활동동향은?
(세종=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024년 9월 산업활동동향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2024.10.31 pdj6635@yna.co.kr

건설업 불황은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기성의 선행 지표인 건설수주는 지난해 4분기 전년 동기보다 2.5% 증가했다.

건설 수주는 지난해 2분기(20.9%)와 3분기(27.6%)에 이어 3개 분기 연속 상승세가 이어졌다.

연간 건설수주 역시 전년보다 7.2% 증가했다.

다만 건설수주가 건설기성 지표로 반영되기까지는 통상 1년에서 1년 반가량의 '시차'가 발생한다.

공사 계약 시점과 실제 착공 시점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올해 건설기성 지표는 2023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건설수주 지표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2023년 건설수주는 1분기(-12.7%)와 2분기(-31.4%), 3분기(-44.8%) 모두 전년 동기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4분기 22.7% 증가하며 반등하는 듯했지만 지난해 1분기 다시 15.6% 감소했다.

그 때문에 이 시기 지표가 반영되는 올해 상반기까지는 건설기성 역시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12월 건설기성이 살짝 회복하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부진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기 상황에 따라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정도부터 회복세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traum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4 09:5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