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6월 개인소비지출 물가 전년대비 2.6%↑…4개월 만에 최대폭(종합)
관세 부과로 일부 상품가격 상승 영향…개인소비·소득은 6월 들어 반등
이지헌
입력 : 2025.07.31 22:35:42
입력 : 2025.07.31 22:35:42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 여파로 미국 중앙은행이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6월 들어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상무부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고 3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지난 2월(2.7%)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 4월 2.2%로 낮아졌다가 5∼6월 들어 2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로 역시 지난 2월(0.4%) 이후 가장 높았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8%로, 5월과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로 한 달 전(0.2%)보다 뛰었다.
전년 대비 상승률은 대표지수와 근원지수 모두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를 0.1%포인트 웃돌았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모두 전망치에 부합했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 거주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물가 지표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 물가상승률'이라는 통화정책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때 상대적으로 더 널리 알려진 소비자물가지수(CPI) 대신 PCE 가격지수를 준거로 삼는다.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고 그동안 우려해왔다.
앞서 지난 15일 발표된 미국의 6월 CPI도 전년 동기 대비 2.7% 올라 2월(2.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최근 인플레이션 상황에 대해 "서비스 부문 물가 상승률은 계속 둔화하고 있는 반면, 관세 인상으로 일부 상품의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 함께 발표된 6월 실질 개인소비지출은 전월 대비 0.1% 증가했다.
5월 실질 개인소비지출은 0.2% 감소한 바 있다.
명목 개인소비지출도 전월 대비 0.3% 늘어 증가로 돌아섰다.
명목 개인소득도 5월 감소(-0.4%)에서 6월 들어 증가(0.3%)로 돌아섰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전자,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2
이지케어텍, 74.66억원 규모 공급계약(2025년 보훈병원 통합정보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유지관리 용역) 체결
-
3
디앤디플랫폼리츠,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4
SKC,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5
해성디에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6
KCGI, 국내 1위 폰트업체 산돌 백기사로 ··· 상속세 해결사 역할
-
7
SKC,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8
주식대차거래 잔고감소 상위종목(코스닥)
-
9
주식대차거래 잔고감소 상위종목(코스피)
-
10
"FAANG은 한물갔다" 큰거 한방 노리는 MZ개미 젊은 기업 PARC으로 풀액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