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5.07.31 17:09:06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이슈요약
NEW
(160550)
3,195원
(
+29.88%)
동사 배급 영화 '좀비딸' 올해 개봉 영화 오프닝 최고 성적 소식에 상한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배급을 맡은 영화 '좀비딸'이 올해 개봉한 영화 중 오프닝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고 전해짐.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좀비딸’은 개봉 전 시사회 관람객까지 합쳐 누적관객 46만 2,000명을 기록했으며, 이는 올해 한국 영화, 외화를 포함해 최고 성적이라고 알려짐.
▷또한, 역대 한국 코미디 영화 최고 오프닝 스코어를 달성했다고 전해짐. '좀비딸'은 역대 관객 수 2위 ‘극한직업’의 첫날 스코어(36만 8,582명)까지 제쳤으며, 최근 5년간 개봉한 비시리즈 한국 영화 가운데 최고 오프닝 스코어도 달성했다고 전해짐.
아모텍
(052710)
11,690원
(
+11.12%)
미국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AI용 MLCC 제품 공급 승인 소식에 급등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미국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AI용 MLCC 제품 공급 승인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동사가 AI용 MLCC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올해 하반기 중 초도 물량을 납품할 계획. 또한, 다른 미국 반도체·네트워크 장비 업체들과도 공급을 협의 중이어서 추가 수주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일본 상위 MLCC 기업의 고사양 제품 수준의 성능 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초고주파 영역에서 데이터전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특성이 우수하다”면서 “고성능 AI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서버 등 초고속 데이터 송수신 환경에서는 데이터 처리의 '신호 무결성' 확보가 중요하고 특히 100㎓ 이상 초고주파 환경에서는 신호 무결성이 더욱 중요해 AI용 MLCC 제품 성장성이 클 것”이라고 밝힘.
미래나노텍
(095500)
12,380원
(
+10.54%)
계열사 미래첨단소재, 국내 대형 양극재 제조사에 4.5만t 규모 무수리튬 공급예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차전지 소재 계열사 미래첨단소재가 국내 대형 양극재 제조사에 4만5,000t 규모로 무수리튬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 물량인 4만5,000t은 양극재 17만t 수준을 제조할 수 있는 규모로, 미래첨단소재는 이번 계약을 통해 내년 상반기부터 해당 기업에 3년간 무수리튬을 납품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미래첨단소재 관계자는 "무수리튬 양산을 본격화하면서 국내외 수요 대응력이 크게 강화됐다"며, "올 하반기 생산능력 증설과 함께 양극재 첨가제를 포함한 주요 소재군 공급망도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제이브이엠
(054950)
28,650원
(
+9.98%)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75.37억원(전년동기대비 +25.93%), 영업이익 109.03억원(전년동기대비 +58.70%), 순이익 89.00억원(전년동기대비 +47.30%).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추정치 대비 +10.4%, +43.0%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으며, 수익성 높은 수출이 고성장하여 2분기 역대 최고 영업이익률 달성(22.9%, +4.7%pt)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3,000원 -> 38,000원[상향]
비트맥스
(377030)
4,430원
(
+8.58%)
국내 상장사 최초 비트코인 500개 돌파 소식 속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비트코인 56.04개를 추가 매입하며, 총 보유량이 500.1234BTC에 달했다고 밝힘. 국내 상장사 가운데 비트코인 보유량이 500개를 넘은 것은 동사가 유일하며, 이번 추가 매입으로 동사는 전 세계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 순위에서 기존 50위에서 49위로 한 계단 상승한 것으로 전해짐. 아시아 상장사 기준으로는 13위에 해당하며, 10위권 진입도 가시권에 들어섰음.
제이엘케이
(322510)
6,280원
(
+7.53%)
뇌경색 분석 솔루션 'JLK-CTL' 임상적 가치 입증 소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뇌경색 분석 솔루션 'JLK-CTL'이 대규모 임상 검증을 통해 대혈관 폐색을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힘.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신경과학회 공식 학술지인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최신호에 게재되며, 기술의 신뢰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고 설명. 이번 연구는 국내 7개 대형 뇌졸중 센터에서 총 1,812명의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됐으며, 서로 다른 제조사의 CT 장비로 촬영된 영상이 포함돼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호환성과 범용성도 함께 검증됐다고 언급.
▷특히, AI가 분석한 혈전 부피가 클수록 실제 뇌 손상 범위도 크다는 상관관계가 입증돼, JLK-CTL이 단순 탐지 기술을 넘어 예후 예측과 치료 방향 설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언급. 이번 임상 결과를 토대로 JLK-CTL의 신뢰성과 유효성을 확보한 만큼, 향후 미국 FDA, 일본 PMDA 등 글로벌 인허가 획득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디와이씨
(310870)
1,743원
(
+7.26%)
전기차 및 내연기관 부품 수주 확대 소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기차와 내연기관 부품 수주 확대를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힘. 최근 아마존-리비안 제휴 전기차 배달용 밴에 탑재되는 동력전달부품 2종과 다임러의 전기차 동력전달부품 3종을 수주했으며, 다임러 전기차용 부품은 연간 60억원 규모로 벤츠 전기차량에 장착될 예정이라고 설명.
▷또한, 내연기관 차량용 동력전달부품 10종도 신규 수주했다며, 연간 100억원 규모로 예상되는 이 부품들은 아우디, 벤틀리, 람보르기니 등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차량에 적용될 예정이라고 밝힘. 수주 포트폴리오도 한층 강화하고 있다며, GKN, ZF 등 글로벌 자동차 부품 회사를 통해 GM, 미쓰비시, 포르쉐, 벤츠, BMW, 스텔란티스 등 세계 유수의 자동차 제조사에 부품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언급. 특히, 전기차 전용 부품으로 Diff Case, Spur Gear, Flange 등 3종이 확정됐다며, 유력 수주 건까지 합하면 전기차 전용 부품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HK이노엔
(195940)
45,000원
(
+6.76%)
하반기 케이캡 매출 성장 지속 전망 등에 강세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 케이캡 국내 및 수출 매출 성장이 지속되고, H&B 사업부 실적 회복이 예상되며, 화이자 코로나 백신 유통사로 낙찰되면서 관련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케이캡의 미국 품목 허가 신청, 미란성 유지요법 임상3상 데이터 발표, 유럽 L/O 등 R&D 모멘텀이 유효하다며 적정주가를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한편, 2Q25 실적은 매출액 2,631억원(+20.0% YoY, +6.4% QoQ), 영업이익 195억원(-19.8% YoY, -23.0% QoQ; OPM 7.4%)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고 밝힘. 다만, 7월 말부터 신규 생산 음료 제품으로 출고가 재개되고, 보상 여부에 따라 실적 회복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언급. 이어 주요 품목인 케이캡을 비롯해 신규 도입 품목 아바스틴(항암제) 등 ETC 매출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3,000원 -> 65,000원[상향]
지엔씨에너지
(119850)
34,050원
(
+6.74%)
AI 관련 매출 상승 기대감 등에 강세
▷그로쓰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AI관련 매출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SK텔레콤은 AWS와 합작으로 7조 원규모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조성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동사는 연간 1조 원의 AI 관련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 이어 이재명 정부의 AI 고속도로 정책은 인프라 구축을 넘어 산업 전반의 구조적 변화를 예고한다며, 인프라ㆍ반도체ㆍ데이터ㆍ인재를 하나의 유기적 생태계로 엮는 전략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한국은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실질적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밝힘.
지노믹트리
(228760)
15,550원
(
+6.14%)
방광암 체외진단 '얼리텍-B' 식약처 허가 최종 심사자료 제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방광암 체외진단 제품 '얼리텍-B'의 국내 사용허가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최종 심사자료를 제출했다고 밝힘. 제출 된 자료는 식약처의 1차 보완 요청에 따라 추가 중앙 병리의사 재판독 결과와 일부 보충 임상시험 데이터가 포함된 최종 수정 임상보고서이며, 앞서 동사는 대규모 확증 임상시험을 통해 '얼리텍-B'의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약처에 사용허가를 신청한 바 있음.
▷이와 관련, 안성환 대표는 "이번 중앙 병리 재판독을 위한 추가 임상시험은 기존 확증임상시험 결과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식약처의 보완 요청에 따라 성실히 수행됐다"며 "이로 인해 상당한 시간과 자원이 소요됐지만, 참여 기관들의 임상시험 수행 역량을 입증하고 새로운 체외진단 제품에 대한 임상시험 설계 역량과 규제 대응 경험을 축적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힘.
넥써쓰
(205500)
3,865원
(
+6.04%)
보안·개인정보 관리 국제표준 인증 획득 소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 분야 국제표준인 ISO/IEC 27001(정보보호경영시스템)과 ISO/IEC 27701(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ISO 27001은 정보자산 보호를 위한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지속해 개선하는 데 필요한 국제 표준이며, ISO 27701은 이를 확장한 개인정보보호 기준으로 수집부터 처리·삭제에 이르는 전 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체계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블록체인 산업은 기술과 신뢰가 함께 검증돼야 하는 분야로 이를 동시에 확보한 플랫폼만이 세계 시장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뤄낼 수 있다"며,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신뢰를 바탕으로 오픈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크로쓰'의 고도화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딥노이드
(315640)
5,740원
(
+4.94%)
산업부 '의료 특화 생성형 AI' 국책과제 선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글로벌 연계형 멀티모달 의료 특화 초거대 생성형 AI 기술 개발 국책과제 선정 공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에서 주관하는 국책과제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사업의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연구비는 116.71억원, 정부지원 연구개발비는 85.50억원, 동사분 정부지원 연구개발비는 49.87억원(자기자본대비 26.19%)임.
▷이와 관련, 최우식 동사 대표는 언론을 통해 "이번 프로젝트로 의료 AI 기술력을 초거대 생성형 모델로 확장하게 됐다"며 "현재 의료 AI 시장의기술 경쟁이 치열한 만큼 상용화를 통한 실증 능력이 중요하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한국 의료 AI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입증하겠다"고 밝힘.
ISC
(095340)
60,500원
(
+4.67%)
3분기 분기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수익성은 시장기대치를 소폭 밑돌았지만, 3분기에는 매출 682억원, 영업이익 183억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실적 발표회에서 번인테스터 및 번인 소켓 초도 공급, AI 가속기용 실장테스터 및 소켓의 초도 공급 사실을 밝힌 바 있는데 후공정 장비 사업 인수에 따른 본업과의 시너지는 2026년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빅테크 업체들의 견조한 설비투자(CAPEX) 계획과 연이은 AI 데이터센터 투자 건이 발표되고 있다며, AI 가속기 신규 칩 연구 개발 및 양산 적용이 본격화되는 상황인 만큼 수혜가 예상된다면서 상저하고 실적 흐름 감안 시 조정 시마다 매수 접근이 유효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3,000원[유지]
아이엘
(307180)
2,725원
(
+4.01%)
고안정성 리튬 금속 음극시트 제조 핵심기술 PCT 국제출원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리튬 금속 배터리의 수명과 안정성을 획기 적으로 개선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PCT(국제특허 협력조약)를 통해 157개국 대상 국제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밝힘. 이번 출원 기술은 3차원(3D) 집전체와 선택적 표면처리 기술을 활용한 고안정성 리튬 금속 음극시트 제조 방법으로, 리튬 금속 음극 기반 차세대 배터리의 글로벌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이번 기술은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배터리 소재에 대한 관세면제 방침과 맞물려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특허 기술은 리튬 금속 배터리의 안정성, 수명, 성능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트럼프 정부의 관세 면제 정책과 맞물려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상용화를 본격화하고, K-배터리의 위상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
네오이뮨텍
(950220)
1,113원
(
+3.25%)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1,078원임.
루닛
(328130)
47,000원
(
+2.96%)
30억원 규모 정부과제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주관하는 ‘2025년 전략기술형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글로벌기술도입형)’ 과제에 선정돼 ‘AI 기반 개인맞춤형 유방암 전주기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고 밝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해외 우수 기술의 국내 도입 후 추가개발을 통해 국내사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시장진출 확대 등 개방형 혁신 활동을 촉진하고자 하는 사업이며, 동사는 이번 선정을 통해 총 3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고, 2028년 6월까지 3년간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 이번에 개발하는 플랫폼은 개인별 유방 밀도, 유방암 위험도, 예후진단 등을 고도화하고, AI 기술을 통합한 차세대 유방암 통합관리 솔루션임.
대원미디어
(048910)
10,230원
(
+2.81%)
닌텐도 스위치2 효과로 실적 반등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지엘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스위치2 출시 효과와 스포츠 카드 매출 성장 등 다각화된 성장 전략을 통한 실적 반등이 예상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025년 상반기 출시된 닌텐도 스위치2는 전작 대비 높은 관심과 수요를 보이며, 동사의 유통 부문 매출 회복에 강한 모멘텀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 이어 동사는 닌텐도 유통 외에도 캐릭터 IP 기반의 패션ㆍ테마파크ㆍ스토어 협업과 스포츠 트레이딩 카드 유통 등 다각화된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다고 분석.
▷아울러 스위치2 관련 연간 매출은 약 1,400억 원 수준으로 전망되며, 유통과 카드사업 동반 성장에 따라 2025년 당기순이익 흑자전환과 배당 재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이브이첨단소재
(131400)
2,220원
(
+2.78%)
투자사 대만 프롤로지움, 전고체 리튬 배터리 상용화 돌입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투자사인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ProLogium Technology)가 초유동화 무기 고체 전해질을 발표하며 차세대 전고체 리튬 배터리 상용화에 나섰다고 밝힘. 프롤로지움에 따르면, 해당 전해질 기술은 고체 물질의 높은 이온 농도와 액체의 우수한 계면 접촉 특성을 결합해 기존 전고체 배터리의 3가지 주요 병목 현상(이온 전도성·계면 안정성·제조 효율성)을 극복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프롤로지움 관계자는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기술 라이선스, 전략적 제휴, 지역 제조 협력 모델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시장을 본격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1,000개 이상 특허로 구성된 독자 기술 포트폴리오와 함께, 산업용 모듈부터 응용 제품까지 통합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해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언급. 이어 "SGS 인증을 통해 'SF-Ceramion'의 성능이 세계적 수준임을 검증받았고, 특히 혹한의 환경·항공우주·군수용 전지 등 까다로운 산업에도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입증했다"고 밝힘.
젬백스
(082270)
54,300원
(
+2.65%)
진행성핵상마비 연구 결과 발표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7일부터 31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치매 및 신경퇴행성질환 관련 학술대회인 알츠하이머협회 국제학술대회(AAIC 2025)에서 ‘PSP 동물모델에서의 GV1001 이미징 바이오마커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연구 결과, GV1001이 타우 병증 마우스 모델에서 신경 염증 및 타우 병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GV1001의 신경 염증 및 타우 병리에 대한 조절 가능성을 PET을 활용해 추적 관찰함으로써 다시 입증한 데 의의가 있다”며 “특히 TSPO 및 MAO-B 기반의 영상 기법이 GV1001의 치료 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미징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힘.
우리넷
(115440)
6,340원
(
+2.26%)
양자암호통신 산업 성장 수혜 분석 등에 소폭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존 전송망 장비 뿐만 아니라 양자암호통신에서도 독보적인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산업 성장의 최대 수혜주로 발돋움 할 것으로 전망. 트래픽 증가 추세와 5G-SA 도입, 백본급 전송망의 국산화를 감안하면 수요 업사이드(상승여력)가 큰 시장이라며, 향후 통신사 장비에 양자암호통신 솔루션이 탑재 됨에 따라 공급가와 이익률의 인상이 전망된다고 밝힘.
▷이어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향후에도 실적 견인할 요소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양자 암호통신 피어(동종) 업체 대비해서 멀티플이 낮은 수준이어서 멀티플 확장이 예상된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잠재력을 인정받으면 큰 폭의 주가 상승도 가능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0,000원[신규]
SOOP
(067160)
79,500원
(
-3.52%)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분석 및 시장 점유율 감소 전망 등에 하락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실적은 매출액 1,169억원 (+15.2% YoY), 영업이익 300억원 (-9.9% YoY)를 기록하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10% 하회했다며, 플레이디 인수 영향으로 광고 변동비가 늘었고, 일회성 리브랜딩 비용(16억원)이 인식된 게 실적 부진에 기인했다고 분석.
▷아울러 국내 플랫폼 경쟁 심화로 M/S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며, 중계권 확보가 어려워지고, 국내 OTT들의 라이브스트리밍 시도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중계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 환경에서 동사는 공격적인 투자를 하지는 않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경쟁사들의 투자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이는 중장기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밝힘.
▷한편, 광고 부문은 계열사(본사, CTTD, 플레이디) 간 시너지가 하반기부터 나타나며 광고 매출 고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플랫폼의 유의미한 성과는 기다림이 필요해 보인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7,000원 -> 100,000원[하향]
티씨케이
(064760)
107,000원
(
-4.29%)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726.74억원(전년동기대비 +6.33%), 영업이익 195.02억원(전년동기대비 -4.04%), 순이익 159.87억원(전년동기대비 -15.99%).
주성엔지니어링
(036930)
27,250원
(
-7.78%)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87.92억원(전년동기대비 -19.04%), 영업이익 65.75억원(전년동기대비 -81.76%), 순이익 50.40억원(전년동기대비 -84.76%).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295억원 대비 78% 하회했다고 밝힘. 아울러 장비 매출 일부가 3분기로 이연되면서 매출액이 기대치를 하회했고, 이익률이 높은 중국향 매출 비중이 1분기 70%에서 2분기 40%대로 낮아져 영업이익과 이익률 모두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7,000원 -> 38,000원[하향]
미트박스
(475460)
12,660원
(
-28.43%)
美 소고기 추가 개방 무산 소식에 급락
▷언론에 따르면, 한미 무역 협상에서 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이 제외됐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한미 관세협상 타결 브리핑에서 "미국과 협의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힘.
▷한편, 동사는 축산물 직거래 플랫폼 업체로 최근 미국이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등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를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 속 부각된 바 있음.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8.01 15:30
NEW 3,285 90 +2.82%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8.02 20:5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