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통신·수사 데이터 싹다 모아 사전 탐지…보이스피싱 국가 컨트롤타워 만든다
이용안 기자(lee.yongan@mk.co.kr), 양세호 기자(yang.seiho@mk.co.kr)
입력 : 2025.07.28 19:06:38
입력 : 2025.07.28 19:06:38
금융·통신·수사정보 통합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신설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신설

정부가 갈수록 기승을 부리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금융·통신·수사 데이터를 모아 범죄를 사전 탐지하는 국가 컨트롤타워를 만든다.
금융위원회는 28일 서울 여의도 금융보안원에서 금융감독원, 경찰청,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열고 연내 전 금융권과 통신사, 수사기관이 참여하는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하는 서민 금융 범죄 척결을 위해 민관이 힘을 합하는 모양새다.
현재 개별 금융사들은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으로 보이스피싱 범죄 의심계좌를 탐지해 지급정지 등 조치에 나서고 있지만 정보가 흩어져 있고 금융사 간 정보교류가 늦어 적기 대응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에는 금융사 134곳, 통신3사, 경찰 등 수사기관이 대거 참여해 의심계좌 정보를 신속히 공유해 지급정지 등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이렇게 취합된 정보는 인공지능(AI) 모델로 분석해 금융권의 범죄계좌를 사전 차단하는 데 활용된다.
정부는 4분기 중 컨트롤타워 출범에 나서기로 했다. 연내 통신사기피해환급법을 개정해 더 내실 있게 정책을 다듬는다는 계획이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사의 피해구제 책임을 법제화하고, 가상자산·스미싱 등 규제를 회피하는 수법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을 빠르게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