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한개 2천원 진짜냐?”…논란의 중심이 된 면류, 장바구기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이지안 기자(cup@mk.co.kr)
입력 : 2025.07.01 11:21:30
입력 : 2025.07.01 11:21:30
10명중 2명 “면류가 물가 올려”
소비 빈도 높아 영향력 ‘최대’
실제 상승률은 빵보다도 낮아
라면 집중조명 ‘형평성’ 논란도
소비 빈도 높아 영향력 ‘최대’
실제 상승률은 빵보다도 낮아
라면 집중조명 ‘형평성’ 논란도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품목 1위는 면류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 폭이 크지 않더라도 구매 빈도가 높아 체감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이 최근 발표한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가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품목은 면류(18%)였다. 이어 유가공품(12.4%), 간편식(8.1%), 육류가공품(7.1%) 순으로 조사됐다.
면류의 가격 상승률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 기준 국수는 153.60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지만, 라면(117.84), 파스타면(133.64)은 치즈(138.27), 빵(130.50), 초콜릿(133.59) 등 주요 가공식품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면류가 논란의 중심에 선 이유는 ‘소비 빈도’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가공식품 중 지출액 기준 소비자 구매 비중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면류(15.3%)로 나타났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인 만큼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지난달 9일 이재명 대통령이 비상경제민생점검TF 회의에서 “라면 한 봉지에 2000원”이라며 언급한 발언이 사회적 반향을 일으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후 정부와 여당은 가공식품 물가 안정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실효성 있는 대응은 나오지 않고 있다.
라면 등 가공식품의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주로 사용하는 수단은 할당관세다. 수입 밀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해 원가를 낮추는 방식이다. 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밀가루 가격이 급등했을 당시에도 정부는 밀을 할당관세 대상에 포함시킨 바 있다.
하지만 할당관세는 식품 원가 인하를 유도하는 간접적 조치에 불과해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가격 안정으로 이어지기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국회 예산정책처 역시 최근 발표한 ‘할당관세 운용 현황과 개선과제’ 보고서에서 “에너지 관련 품목은 물가 안정 효과가 분명하지만 일부 농축수산물은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라면이 물가 통제의 대표 상징처럼 부각되는 것에 대해 형평성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다른 품목에 비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에선 과도한 정치적 상징화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여긴 웨이팅이 필수죠”…국내 사모펀드 JKL, 런던베이글 인수 나선 이유는?
-
2
‘크립토 은행’ 도전하는 서클…美 은행 라이선스 신청 나서
-
3
위드텍(348350) 급등세 기록중 +26.16%
-
4
오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닥)
-
5
당일 자사주 체결 현황
-
6
제노코, 최대주주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외 1인으로 변경
-
7
한국쉘석유, 주당 2,000원 현금배당 결정
-
8
일진파워, 199.76억원 규모 공급계약(2025년도 한빛 3,4호기 기전설비 정비공사) 체결
-
9
AI 대응으로 희비 갈린 M7 주가…올 상반기 1등은 메타
-
10
다날(064260) 상한가 진입, 52주 신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