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밈코인 거액 투자자 행사에 한국인들도 초청받아(종합)

하이퍼리즘 오상록 대표 등…"코인업계 거물, 인플루언서, 셀럽 혼재"행사장 밖에서는 항의 시위 "비윤리적" "부패 중단하라"
한지훈

입력 : 2025.05.24 20:38:28


트럼프 밈코인 행사에 항의하는 시위대
(스털링<미 버지니아주> AFP=연합뉴스) 2025년 5월 22일 미국 버지니아주 스털링에 있는 트럼프 내셔널 골프 클럽에서 열린 비공개 만찬 행사에 항의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는 와중에, 만찬에 초대된 한 초청객이 도착하고 있다.(Getty Images via AFP) 2025.5.24.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한지훈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밈 코인 '트럼프 코인'($TRUMP) 다량 보유자들을 위해 이틀 연속으로 개최한 비공개 행사에 초청된 인물들 중 한국인이 적어도 2명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주요 언론매체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 소재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트럼프 코인 다량보유자 200여명을 초청해 만찬을 연 데 이어, 이날은 그 중에서도 VIP로 선정된 20여명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비공식 투어를 개최했다.

22일과 23일 행사 초청 대상은 각각 보유 순위 상위 220위 이내, 25위 이내였으며, 이 중 22일 행사의 입장권은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있었다.

다만 공개된 행사 참석 규칙 안내에 따르면 원래 트럼프 코인 다량 보유자였든 다른 사람으로부터 입장권을 받은 경우이든 초청 대상 본인만 참석이 허용됐고 타인을 동반인으로 데리고 갈 수는 없었다.

디지털 자산 관리 기업 '하이퍼리즘'의 오상록 최고경영자(CEO)의 경우 트럼프 코인 보유 순위가 25위 이내여서 22일과 23일 행사 양쪽 모두에 초청받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하이퍼리즘을 "서울과 도쿄에 기반을 두고 아시아의 기관투자자들을 위해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는 회사"라고 소개했다.


하이퍼리즘 오상록 대표(왼쪽)와 라수경 최고운영책임자 [하이퍼리즘 홈페이지 캡처]

오 CEO 자신의 링크드인 소개에 따르면, 그는 지난 2015년 서울대 경영대를 졸업한 청년 사업가다.

사모펀드 운용사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 등에서 일하다가 2018년 이원준 씨와 하이퍼리즘을 창업해 공동 CEO로 활동해왔다.

하이퍼리즘은 직원 50여명 규모의 가상자산 투자 신탁 회사로, 그동안 코인베이스 벤처스, 해시드, 삼성넥스트, 카카오인베스트먼트 등에서 2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된 가상자산 사업자로, 투자 포트폴리오 중 하나로 트럼프 코인을 대규모로 사들인 것으로 보인다.

NYT는 오 CEO가 22일 행사에 입장하는 모습이 보였고 당시 NYT 기자가 인터뷰도 했다고 설명했다.

또 VIP 초청 백악관 투어가 열린 23일에는 오 CEO의 모습이 백악관 바깥에서 목격됐다고 전했다.



트럼프 밈코인 행사에 항의하는 시위대
(스털링<미 버지니아주> AFP=연합뉴스) 2025년 5월 22일 미국 버지니아주 스털링의 트럼프 내셔널 골프 클럽에서 열리는 비공개 만찬 행사에 항의하는 시위 참가자들이 골프 클럽 바깥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Getty Images via AFP) 2025.5.24.

하이퍼리즘 임원인 라수경 씨의 회사 이메일 주소 역시 22일 행사 초청자 명단에 있었다고도 NYT는 덧붙였다.

라수경 씨는 이와 관련, 행사 전에 링크트인에 글을 올려 "트럼프 내셔널 골프 클럽에서 열리는 '겟트럼프밈스'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이번 주에 워싱턴DC에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실제로 참석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링크트인에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라 씨의 직함은 하이퍼리즘 최고운영책임자(COO)다.

라 씨는 서울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악보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마피아컴퍼니를 설립해 운영하다 지난해 하이퍼리즘에 합류했다.

NYT에 따르면 두 행사 모두 초청 대상 명단이 사전에 공개되지 않았으며, 초청받은 이들도 다른 이들이 초청을 받았는지 여부는 알지 못했다.

미국 언론 매체들은 현장 참석자들, 행사장 주변 목격자들, 현장에서 입수한 초청자 명단 등과 소셜 미디어에 참석자들이 올린 글 등을 바탕으로 누가 참석했는지 보도하고 있다.

22일 만찬 행사에 초청돼 참석하는 것이 목격된 이들 중에는 중국 태생이며 가상화폐 회사 트론의 창립자인 저스틴 선도 있었다.

그는 2023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사기 혐의로 고발돼 조사받은 바 있으며, 2024년에는 트럼프 일가의 암호화폐 기업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에 7천500만달러(약 1천30억원)를 투자해 '이해 충돌' 논란을 일으켰다.



트럼프 밈코인 행사에 항의하는 시위대
(미국 버지니아주 스털링 로이터=연합뉴스) 2025년 5월 22일 미국 버지니아주 스털링의 트럼프 내셔널 골프 클럽 입구에서 시위대가 시위를 벌이고 있다.(REUTERS/Ken Cedeno) 2025.5.24.

미국프로농구(NBA)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선수였던 라마 오돔 등 유명인들도 여럿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NBC방송은 22일 만찬행사장 주변의 분위기에 대해 "시위대가 거리에 늘어선 가운데 고급 승용차들이 트럼프의 버지니아주 북부 골프 클럽으로 진입했다"며 "시위대는 이 행사를 대통령이 밈 코인 구매를 통해 돈을 벌거나 다른 사람들이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윤리적인 방법이라고 비난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날 행사장 주변에는 100명가량의 시위대가 "가상화폐 부패를 중단하라", "참석자 리스트를 공개하라" 등의 글이 적힌 팻말을 든 채 시위를 벌였다.

텍사스주 오스틴에 사는 미셸 비스트리츠키는 행사 참석자들의 구성에 대해 "회사 대표, 암호화폐 지지자, 인플루언서, 그리고 일부 셀럽들(우리는 거기서 라마 오돔을 만났는데 멋진 일이었다)이 섞여 있었다"고 인스타그램 다이렉트 메시지로 설명했다.

그는 "대부분 남자였고, 여자는 아마 5명 정도 되는 것 같았는데 내가 그 중 하나였다"며 미국 출신과 다른 나라 출신의 비율이 50대 50인 느낌이었다고 설명하면서 "중국, 필리핀, 두바이, 한국에서 온 사람들을 만났다"고 말했다.

limhwasop@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5 02:4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