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위도 뛰어들어"…'M&A 큰장' 저축은행업계 재편 본격화
업계 1위 SBI는 교보생명에 매각·2위 OK금융은 상상인 인수 타진PF대출 부실에 잠재매물 쌓여…업계 'M&A 규제 추가 완화' 요구
임수정
입력 : 2025.05.06 06:31:01
입력 : 2025.05.06 06:31:01
업계 1위 SBI는 교보생명에 매각·2위 OK금융은 상상인 인수 타진PF대출 부실에 잠재매물 쌓여…업계 'M&A 규제 추가 완화' 요구

SBI저축은행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이 교보생명에 매각되는 데 이어 2위 OK저축은행도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타진하는 등 저축은행 업계 판도에 변화가 예고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건전성이 악화한 저축은행들도 잠재 매물로 거론되면서 10여년간 '전국 79곳'을 유지해온 저축은행업권 규모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인수·합병(M&A) 및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금융당국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 저축은행 M&A '시동'…1등부터 부실은행까지 셈법 제각각 6일 저축은행업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 1위 저축은행인 SBI저축은행을 교보생명이 인수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2위 OK금융그룹도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놓고 물밑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 14조289억원, 자본총계 1조8천995억원의 명실상부 1위 저축은행이다.
SBI저축은행은 국내 주요 생명보험사인 교보생명을 대주주로 맞이하며 고객 다변화와 여신 규모 확대 등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SBI저축은행은 보험사에서 거절된 고객 흡수 등으로 여신 규모를 1조6천억원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자산 규모 2위인 OK저축은행을 보유한 OK금융그룹도 경기·인천 영업권을 가진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통한 영업권 확대를 노리고 있다.

[OK금융그룹 제공]
OK금융그룹은 작년 말 상상인저축은행 실사를 마치고 가격 협상을 벌이고 있다.
OK금융의 상상인저축은행 인수가 성사될 경우 작년 4분기 말 합산 총자산이 16조원에 육박하면서 현재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을 넘어서게 된다.
상상인그룹은 최대주주의 대주주 적격성 유지 요건 문제로 상상인저축은행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다.
상상인저축은행은 최근 금융당국으로부터 재무 건전성 악화 등으로 적기시정조치도 받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상상인[038540] 측에서는 2천억원 수준을 원하지만, OK금융 쪽에서는 1천억원 아래까지 제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자산 부실 정도 등을 놓고 가격 이견이 상당해 끝까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제공]
이런 과정에서 OK금융은 경기·인천 영업권을 가진 페퍼저축은행 인수도 함께 저울질했지만, 페퍼저축은행은 회계법인 실사 이후 추가 절차가 적극적으로 진행되진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산 규모가 큰 상위권 저축은행뿐 아니라 하위권 저축은행들의 M&A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하위권은 여신 규모가 작을 뿐 아니라 PF 대출 부실 등으로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어 구조조정 압력이 계속 커지는 양상이다.
작년 12월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라온저축은행은 코스닥 상장사인 베셀[177350]에 지분 32만주(지분율 40%) 매각을 추진 중인데, 베셀 역시 재무 상태가 좋지 못한 상황이라 금융당국으로부터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HB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OSB저축은행 등도 잠재 매물로 꾸준히 거론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 제공]
◇ 금융위, 2년간 한시적 완화…업계는 "추가 규제 완화 필요" 금융당국은 지난 3월 저축은행 업권의 신속한 구조조정 필요성을 거론하며 M&A 기준을 2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사태 이후 저축은행의 무분별한 대형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국을 6개 영업구역을 나누고, 영업구역 확대를 초래하는 동일 대주주의 3개 이상 저축은행 소유·지배를 금지해왔다.
2023년 7월 비수도권 저축은행 등에는 4개까지 영업구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 데 이어 이번에는 수도권 저축은행에도 예외적으로 M&A를 허용하는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그간 M&A가 예외적으로 가능했던 '구조조정 저축은행' 범위가 적기시정조치(유예 포함)를 받은 경우에서 최근 2년간 분기별 평가에서 자산건전성 4등급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로 확대했다.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기준도 '9% 이하'에서 '11% 이하'로 바꾼다.
업계에서는 완화된 기준을 적용할 경우 저축은행 10여곳이 신규 M&A 대상이 추가 편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 사태로 100개가 넘던 저축은행이 79곳으로 축소돼 현재까지 유지돼오고 있지만, 현재 시장 규모에 비해 너무 많다는 평가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업권을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매물이 쌓이는 속도에 비해 아직 매수세는 썰렁하다.
업계에서는 적극적인 자율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부실이 있는 저축은행에만 조건부로 M&A를 허용하는 현재의 방식 대신 '완전 자율' M&A를 허용해 대형 저축은행이 부실 소형 업체를 인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매각을 원하는 오너가 있고, 인수에 관심 있는 회사들도 분명히 있다"며 "M&A 관련 규제를 확실히 열어주면 자본력이 있는 곳에서 어려움을 겪는 지방은행들도 인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M&A 규제 추가 완화 가능성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결국 서울·수도권 매물에만 관심이 있지, 지방은행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상황"이라며 "저축은행 사태의 아픈 기억이 있는데도, 또 소수 은행으로만 M&A가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sj9974@yna.co.kr(끝)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이 교보생명에 매각되는 데 이어 2위 OK저축은행도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타진하는 등 저축은행 업계 판도에 변화가 예고된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건전성이 악화한 저축은행들도 잠재 매물로 거론되면서 10여년간 '전국 79곳'을 유지해온 저축은행업권 규모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인수·합병(M&A) 및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금융당국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 저축은행 M&A '시동'…1등부터 부실은행까지 셈법 제각각 6일 저축은행업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 1위 저축은행인 SBI저축은행을 교보생명이 인수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2위 OK금융그룹도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놓고 물밑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 14조289억원, 자본총계 1조8천995억원의 명실상부 1위 저축은행이다.
SBI저축은행은 국내 주요 생명보험사인 교보생명을 대주주로 맞이하며 고객 다변화와 여신 규모 확대 등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SBI저축은행은 보험사에서 거절된 고객 흡수 등으로 여신 규모를 1조6천억원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자산 규모 2위인 OK저축은행을 보유한 OK금융그룹도 경기·인천 영업권을 가진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통한 영업권 확대를 노리고 있다.

[OK금융그룹 제공]
OK금융그룹은 작년 말 상상인저축은행 실사를 마치고 가격 협상을 벌이고 있다.
OK금융의 상상인저축은행 인수가 성사될 경우 작년 4분기 말 합산 총자산이 16조원에 육박하면서 현재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을 넘어서게 된다.
상상인그룹은 최대주주의 대주주 적격성 유지 요건 문제로 상상인저축은행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다.
상상인저축은행은 최근 금융당국으로부터 재무 건전성 악화 등으로 적기시정조치도 받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상상인[038540] 측에서는 2천억원 수준을 원하지만, OK금융 쪽에서는 1천억원 아래까지 제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자산 부실 정도 등을 놓고 가격 이견이 상당해 끝까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상상인저축은행 제공]
이런 과정에서 OK금융은 경기·인천 영업권을 가진 페퍼저축은행 인수도 함께 저울질했지만, 페퍼저축은행은 회계법인 실사 이후 추가 절차가 적극적으로 진행되진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산 규모가 큰 상위권 저축은행뿐 아니라 하위권 저축은행들의 M&A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하위권은 여신 규모가 작을 뿐 아니라 PF 대출 부실 등으로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어 구조조정 압력이 계속 커지는 양상이다.
작년 12월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라온저축은행은 코스닥 상장사인 베셀[177350]에 지분 32만주(지분율 40%) 매각을 추진 중인데, 베셀 역시 재무 상태가 좋지 못한 상황이라 금융당국으로부터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HB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OSB저축은행 등도 잠재 매물로 꾸준히 거론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 금융위, 2년간 한시적 완화…업계는 "추가 규제 완화 필요" 금융당국은 지난 3월 저축은행 업권의 신속한 구조조정 필요성을 거론하며 M&A 기준을 2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사태 이후 저축은행의 무분별한 대형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국을 6개 영업구역을 나누고, 영업구역 확대를 초래하는 동일 대주주의 3개 이상 저축은행 소유·지배를 금지해왔다.
2023년 7월 비수도권 저축은행 등에는 4개까지 영업구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 데 이어 이번에는 수도권 저축은행에도 예외적으로 M&A를 허용하는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그간 M&A가 예외적으로 가능했던 '구조조정 저축은행' 범위가 적기시정조치(유예 포함)를 받은 경우에서 최근 2년간 분기별 평가에서 자산건전성 4등급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로 확대했다.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기준도 '9% 이하'에서 '11% 이하'로 바꾼다.
업계에서는 완화된 기준을 적용할 경우 저축은행 10여곳이 신규 M&A 대상이 추가 편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 사태로 100개가 넘던 저축은행이 79곳으로 축소돼 현재까지 유지돼오고 있지만, 현재 시장 규모에 비해 너무 많다는 평가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업권을 정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매물이 쌓이는 속도에 비해 아직 매수세는 썰렁하다.
업계에서는 적극적인 자율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부실이 있는 저축은행에만 조건부로 M&A를 허용하는 현재의 방식 대신 '완전 자율' M&A를 허용해 대형 저축은행이 부실 소형 업체를 인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매각을 원하는 오너가 있고, 인수에 관심 있는 회사들도 분명히 있다"며 "M&A 관련 규제를 확실히 열어주면 자본력이 있는 곳에서 어려움을 겪는 지방은행들도 인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M&A 규제 추가 완화 가능성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결국 서울·수도권 매물에만 관심이 있지, 지방은행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상황"이라며 "저축은행 사태의 아픈 기억이 있는데도, 또 소수 은행으로만 M&A가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sj9974@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국투자증권, 골드만삭스와 손잡았다 ··· 펀드판매 등 협력
-
2
고령 치매환자 자산 154조원, GDP 6.4%…2050년엔 488조원 넘어
-
3
“깜빡하는 사이에 154조원 묶였다”…한국경제 위협하는 ‘치매 머니’
-
4
美의회, '中밀수 막겠다' 엔비디아 AI칩 위치추적 추진
-
5
테러가 불붙인 印-파키스탄 충돌…'인더스물전쟁' 확전 가능성은
-
6
정부, 美에 "韓의약품, 美 공급망 안정·환자 접근성 향상 기여"
-
7
‘역대 최대 자금유입’ 美 1등 ETF ··· 3대 S&P500 상품 중 나홀로 질주
-
8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경제에 상당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