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느는 월세…1분기 서울 주택 월세 비중 65% '역대 최대'
입력 : 2025.04.28 06:01:01
높은 전셋값과 금리 부담, 전세사기 후폭풍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 속도가 가팔라지고 있다.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서울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 계약 총 23만3천958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6만2천899건으로 전체의 64.6%를 차지했다.
서울지역 임대차 계약 중 10건 6.4건 이상이 월세 또는 보증부 월세 계약인 것이다.
이는 대법원에 확정일자 정보가 제대로 취합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주택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최근 서울의 월세 전환 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가파르다.
2021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40%대 수준이던 월세 비중은 역전세난과 전세사기가 사회 문제로 떠오른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53%, 56%대로 높아졌고, 지난해는 평균 60.3%까지 치솟았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59.1%에서 3분기에 60.3%, 4분기에 61.2%로 증가세를 보인 뒤 올해 1분기에 65%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비중이 급증했다.
서울의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진 것은 2∼3년 전 심각했던 역전세난이 진정된 후 공급 부족 우려가 부각되며 최근 1년 이상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서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은행 대출 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인상된 보증금을 월세로 돌리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다.
서울 강동구 고덕동의 한 중개사무소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 시중은행의 가계부채 관리 여파로 전세대출이 원활하지 않았고, 기준 금리 인하에 따른 금리 인하 효과도 미미하다 보니 아파트도 월세가 늘어나는 분위기"라며 "수요에 비해 물건이 많아서 월세가 쌓이고 있다"고 말했다.
빌라 등 다세대·연립은 전세사기 우려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고액 보증금 기피 현상이 커진 데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기준 강화로 불가피하게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빌라 매매가격이 하락하면서 보증 가입 기준(공시가격의 126%)을 맞추기 위해 보증금을 낮추고 일부를 월세로 돌리는 방식이다.
전국에서 월세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로 올해 1분기 기준 80%에 달했고 대전(68.5%), 울산(68.0%), 부산(66.5%) 등지도 월세 비중이 서울보다 높았다.
시장 전문가들은 4월 들어 전세 시장이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들며 거래가 감소한 만큼 일부 사정이 급한 집주인들은 보증부 월세 일부를 전세로 돌릴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 추세는 임대차 시장 변화와 함께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sms@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국경제 심각한데 어쩌나”...들어본적도 없는 ‘대대대행’ 체제가 현실로
-
2
[단독] “해외에서 망신 당하는 사태 피했다”…일단 한숨 돌린 한전·한수원 갈등
-
3
[인사] 해양수산부
-
4
“일단 가지고 있어, 그러면 유리해”…잠 못드는 서학개미 위한 투자길잡이
-
5
강원도·춘천시·홍바이오텍, 120억원 규모 투자협약
-
6
군산항·새만금신항, '새만금항'으로…관할권 분쟁 '불씨' 여전
-
7
정의선 회장, 상하이모터쇼 방문…7년 만에 中모터쇼 참석
-
8
유로존 4월 물가상승률 2.2% 유지…근원물가는 반등
-
9
“최악의 상황은 지났다”…장밋빛 전망 내놓는 증권사들, 매수 리포트 늘어
-
10
서열 1위부터 3위까지 모두 사라진 한국…“가장 시급한건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