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S&P500액티브’ 상장
정유정 기자(utoori@mk.co.kr)
입력 : 2025.04.22 10:20:01
입력 : 2025.04.22 10:20:01
S&P500 지수 상위 100~200여개 종목에 압축 투자
시장상황 따라 섹터와 종목 비중 조절
시장상황 따라 섹터와 종목 비중 조절

삼성자산운용은 22일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를 구성하는 상위 100여개 종목에 압축 투자하는 ‘KODEX 미국S&P500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했다고 밝혔다.
S&P500 지수는 1957년 출시 이후 연평균 7.43% 상승하며 장기 투자 시 우상향하는 성과를 보여줬다.
‘투자의 구루’라고 불리는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은 “대부분의 투자자에게 S&P500지수 만큼 좋은 투자처는 없다”고 평가할 정도다.
KODEX 미국S&P500액티브는 S&P500를 비교지수로 추종하면서도 보다 적극적인 운용 방식으로 비교지수를 초과하는 성과를 추구한다.
삼성자산운용은 해당 ETF의 포트폴리오를 S&P500지수 상위 100~200개 종목 수준으로 압축해 구성할 계획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S&P500지수는 상위 100개 종목이 전체 성과의 72%(시가총액비중 기준)를, 상위 200개 종목이 86%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DEX 미국S&P500 액티브는 상위 100여개 종목에 압축 투자해 비교지수 대비 초과 성과를 추구할 계획이다.

실제로 2020년 1월부터 올해 3월 말까지 비교한 결과 S&P500 상위 100종목은 S&P500지수 대비 14.20%의 초과 수익률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ETF에는 시장 상황에 따라 시장을 주도하는 섹터와 종목의 비중을 조절하는 적극적인 운용 방식이 적용된다.
S&P500지수는 장기 우상향하는 성과를 보여왔지만 매년 주도 섹터는 변화해왔다.
지난해는 통신서비스 업종이 주도했지만 2023년과 2019~2020년에는 기술주가, 2021~2022년에는 에너지 업종이 시장을 이끌었다.
삼성자산운용 측은 “KODEX 미국S&P500액티브는 거시 경제 환경을 경제 지표와 밸류에이션 지표, 주요 뉴스 등을 활용해 분석하고 섹터와 종목, 익스포져를 조절해 초과 성과를 추구할 방침”이라며 “S&P500 지수를 비교지수로 하는 액티브형 ETF를 내놓은 것은 대형 자산운용사 가운데 삼성자산운용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한동훈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S&P500지수에 투자한다는 기본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일부 종목 중심의 액티브 전략에 따른 과도한 매매를 지양한다”면서도 “시장 상황에 따른 섹터와 익스포저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비교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추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HD한국조선해양(009540) 소폭 상승세 +3.15%
-
2
네이처셀, 줄기세포치료제 美 FDA 최종 임상시험 인정 소식에 상한가
-
3
신한투자증권, 내부통제 강화 나서…실패 시 임원 공동 성과급 깎는다
-
4
신라젠. 美FDA 임상변경 승인에 27% 급등 [특징주]
-
5
외국계 순매수,도 상위종목(코스피) 금액기준
-
6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7
그린플러스(186230) 상승폭 확대 +6.54%, 3거래일 연속 상승
-
8
툴젠(199800) 소폭 상승세 +5.17%
-
9
아주IB투자(027360) 소폭 상승세 +3.18%, 4거래일 연속 상승
-
10
다올투자증권, 경영권 분쟁 진정되자 주가 13%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