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4.22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4/21(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트럼프, 파월 Fed 의장 압박 지속, 관세정책 불확실성 지속 등에 급락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하락. 특히, 애플(-1.94%)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2.35%) 등 컴퓨터, 엔비디아(-4.51%) 등 반도체, 아마존(-3.06%), 알파벳A(-2.31%), 메타(-3.35%) 등 인터넷, 테슬라(-5.75%) 등 전기차 등 M7 관련 테마들이 일제히 하락. 세일즈포스(-4.45%)가 투자사 DA 데이비슨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 소식 등에 하락하는 등 S/W 및 IT 서비스 테마도 하락했고, 국제유가 급락 속 엑슨 모빌(-1.47%), 셰브론(-3.00%) 등 정유, 린데(-1.83%) 등 화학 테마도 하락.
이 외 마라홀딩스(-2.92%) 등 가상화폐, 쇼피파이(-2.40%) 등 전자결제, AT&T(-3.02%) 등 통신, 유나이티드헬스(-6.34%) 등 헬스케어, 뱅크오브아메리카(-1.31%) 등 은행, 비자(-2.89%) 등 카드, 메트라이프(-2.96%) 등 보험, 코스트코 홀세일(-3.69%) 등 유통, 페덱스(-1.17%) 등 물류, 델타 항공(-3.38%) 등 항공, 포드(-1.66%) 등 자동차, 솔라엣지(-4.27%) 등 신재생에너지, 캐터필러(-2.77%) 등 산업재, 아이온큐(-6.64%) 등 양자, 오클로(-7.23%)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하락.
반면,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속 뉴몬트(+0.24%) 등 금(金) 테마가 상스했고, BHP(+0.86%) 등 광산 테마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
이 외 마라홀딩스(-2.92%) 등 가상화폐, 쇼피파이(-2.40%) 등 전자결제, AT&T(-3.02%) 등 통신, 유나이티드헬스(-6.34%) 등 헬스케어, 뱅크오브아메리카(-1.31%) 등 은행, 비자(-2.89%) 등 카드, 메트라이프(-2.96%) 등 보험, 코스트코 홀세일(-3.69%) 등 유통, 페덱스(-1.17%) 등 물류, 델타 항공(-3.38%) 등 항공, 포드(-1.66%) 등 자동차, 솔라엣지(-4.27%) 등 신재생에너지, 캐터필러(-2.77%) 등 산업재, 아이온큐(-6.64%) 등 양자, 오클로(-7.23%)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하락.
반면,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속 뉴몬트(+0.24%) 등 금(金) 테마가 상스했고, BHP(+0.86%) 등 광산 테마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
관련 테마분석
인터넷 대표주
국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산업 대표기업군. 이들 소수 업체들이 상위 사업자군을 형성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임. 이중 구글에 이어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광고주들의 특성상 많은 트래픽이 모이는 상위 포털 업체에 광고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카카오, NAVER) |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4대 핵심 소재로 구성.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1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테슬라(-7.27%) 주가 약세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 |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엔켐, 켐트로스, 덕산테코피아, 아이티엠 반도체) |
☞2025-04-08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하락 등에 하락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4-21 4월 반도체 수출 호조, 올해 메모리 수급 개선 전망, 반도체 관세 완화 기대감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
☞2025-04-17 TSMC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소폭 상승(주도주 : DB하이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2025-04-16 美, 엔비디아 'H20 칩' 중국 수출 제한 소식 등에 하락 |

IT 대표주
반도체, 디스플레이(OLED 등), 가전 등 국내 대표 IT 기업군.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전자) |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정유
원유 수출입, 운송 및 저장과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생산하는 종목군. |
- 히스토리
☞2025-04-10 국제유가 폭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SK이노베이션, S-Oil, GS) |
☞2025-04-07 국제유가 폭락 영향 등에 하락 |
☞2025-04-02 국제유가 하락 영향 등에 하락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코스닥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2
그린플러스(186230) 상승폭 확대 +6.54%, 3거래일 연속 상승
-
3
툴젠(199800) 소폭 상승세 +5.17%
-
4
아주IB투자(027360) 소폭 상승세 +3.18%, 4거래일 연속 상승
-
5
LS마린솔루션(060370) 소폭 상승세 +3.04%
-
6
니케이지수(일본) : ▼134.88엔(-0.39%), 34,145.04엔 [오후장출발]
-
7
인기검색 20종목
-
8
리드코프(012700) 상승폭 확대 +13.82%
-
9
코스피 하락률 상위 20종목(직전 30분 기준)
-
10
엘티씨(170920) 소폭 상승세 +4.42%, 4거래일 연속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