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혼자 산다’ 독거노인 300만 시대…4인이상 가구 점점 쪼그라들어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입력 : 2025.07.29 13:44:09 I 수정 : 2025.07.29 14:24:56
입력 : 2025.07.29 13:44:09 I 수정 : 2025.07.29 14:24:56
통계청,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1인 가구 급증, 60대 이상만 300만가구
4인 이상 가구 5.7%↓, 전통가족 붕괴
외국인 5.6% 늘어 200만명 돌파
1인 가구 급증, 60대 이상만 300만가구
4인 이상 가구 5.7%↓, 전통가족 붕괴
외국인 5.6% 늘어 200만명 돌파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1인 가구는 804만5000가구로 집계돼 처음으로 800만 선을 넘었다. 전체 가구(2229만4000가구) 중 36.1%로, 비중 역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인 가구는 2019년 600만(614만8000가구)을 돌파한 이후 2021년 700만(716만6000가구)에 이르렀고, 3년 만에 다시 800만 고지를 넘었다. 전년(782만9000가구) 대비로도 21만6000가구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 1인 가구가 300만5000가구로 전체의 37.3%에 달하면서 ‘혼자 사는 노인’의 급증세가 확인됐다. 20대 이하(17.8%), 30대(17.4%) 등 청년층도 여전히 비중이 크다.
반면 전통적인 4인 이상 가구는 감소세다. 지난해 4인 가구는 283만9000가구, 5인 이상 가구는 73만3000가구로 각각 전년 대비 3.0%, 5.7% 줄었다. 다세대·다자녀 중심의 전통적 가족 형태가 빠르게 무너지는 추세를 반영한다.
총인구는 5180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0.1%(3만1000명) 증가했다.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세다. 다만 내국인 인구는 4976만3000명으로 0.2% 감소해, 인구 증가의 대부분은 외국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은 204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외국인 인구가 200만 명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국인 중에서는 30대(27.7%)가 가장 많았고 20대(24.9%), 40대(16.5%) 순이었다.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인과 베트남인, 중국인, 태국인이 상위를 차지했다. 외국인은 코로나19 여파로 2020~2021년 2년간 감소했지만 2022년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 흐름도 계속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12만2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9.5%에 이르렀고, 올해 중에는 20%를 넘기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인구는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유소년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중을 알 수 있는 노령화지수는 186.7로 5년 전(2019년 122.3)보다 64.4포인트나 급등했다. 노년부양비 역시 5년 새 20.8에서 27.9로 상승했다.
고령자가 포함된 가구는 713만7000가구로 전체 일반가구의 32.0%를 차지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18.0%, 고령자 1인 가구는 전체의 10.3%에 달했다. 반면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는 451만7000가구로 전년보다 1.6% 줄었고, 특히 5세 이하 자녀 가구는 128만4000가구로 5.3% 감소해 저출산 흐름을 방증했다.
수도권 인구 집중도는 심화되는 양상이다. 수도권 인구는 2631만 명으로 전체의 50.8%를 차지하며, 매년 비중이 커지고 있다. 특히 경기·인천 지역 인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부산(-0.7%), 광주(-0.9%) 등 주요 광역시는 인구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서울, 부산, 광주, 대전, 울산을 비롯해 전북, 경북, 경남 등 도(道) 지역도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인구가 줄고 있다.
한편, 통계청은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비정형 거주공간인 반지하·지하 및 옥탑 주택 규모를 집계했다. 반지하·지하 주택은 26만1000호(전체의 1.3%), 옥탑 주택은 3만4000호(0.2%)로 조사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속보] IMF, 올해 한국 경제 성장 전망 1.0→0.8% 하향
-
2
30대 농협 직원이 ‘VIP 노부부’ 찾아가 강도질…동기 묻자 ‘횡설수설’
-
3
관세합의 숨은 주역은 美상무?…"日각료에 3시간 예행연습"(종합)
-
4
미·EU, 관세협정 품목·대미투자 해석은 '제각각'
-
5
IMF, 세계 성장률 올리고 한국은 '0%대'로 내렸다
-
6
IMF, 올해 세계성장률 3.0%로 0.2%p↑…美 무역협상 진척 반영
-
7
리벨리온·미국 마벨, 맞춤형 소버린 AI 인프라 개발한다
-
8
IMF, 올해 한국성장 전망 1.0→0.8%…내년은 0.4%p↑
-
9
“스테이블코인 뜰수록 뜨거워져”...이젠 이더리움 모은다는 미국ETF
-
10
美상무장관 "2주후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