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주담대 또 내린다”…9개월째 하락 코픽스, 내 대출 금리는?

류영상 매경 디지털뉴스룸 기자(ifyouare@mk.co.kr)

입력 : 2025.07.16 11:07:41 I 수정 : 2025.07.16 11:27:13
6월 코픽스 하락에 3년 만에 최저
적용 대상 변동형 주담대는 소수
은행 하반기 가산금리 더 올릴 수도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상당 창구 모습 [한주형 기자]
오늘부터 은행별 주담대 금리 인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COFIX·코픽스)가 9개월째 하락했다.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오늘부터 각 은행별로 주담대 변동금리가 조정된다.

16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6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54%로 전월대비 0.09%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22년 6월(2.3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10월부터 9개월째 하락세다.

신잔액 기준 코픽스는 2.63%로 전월대비 0.08%포인트, 잔액 기준 코픽스는 3.07%로 0.07%포인트 떨어졌다.

코픽스는 NH농협, 신한, 우리, SC제일, 하나, IBK기업, KB국민, 한국씨티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코픽스가 하락하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의미고,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 경우다.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시장금리 변동이 신속하게 반영되고, 잔액기준과 신잔액기준 코픽스는 시장금리 변동이 서서히 반영된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금리 인하 체감 가능성은?
이날부터 코픽스 하락분을 반영해 금리가 떨어지는데 일례로 KB국민은행은 변동형 주담대 신규취급액 코픽스 금리를 4.03%~5.43%에서 3.94%~5.34%로, 신잔액 코픽스 금리는 4.45%~5.85%에서 4.37%~5.77%로 내린다.

우리은행도 신규취급액 코픽스 금리는 3.96%~5.16%에서 3.87%~5.07%로, 신잔액 코픽스 금리는 4.24%~5.44%에서 4.16%~5.36%로 낮춘다.

하지만 대다수 차주가 선택한 혼합형이나 주기형 주담대 금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실질적인 대출부담 경감 효과는 미미할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혼합형과 주기형 주담대는 변동형보다 금리가 0.5%포인트 정도 낮아 10명 중 8명정도가 변동형 주담대를 선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코픽스 인하로 서민들의 실질적인 대출금리 부담을 체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코픽스 금리가 내려가는 중에도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관리 영향 등으로 시중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올릴 경우 금리 인하 체감도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자료 = 은행연합회]
3분기 은행권 대출 더 조일 가능성도
이와 함께 은행권이 올 3분기에 대출 문턱을 더 높일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 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는 -17로, 전 분기 -13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대출 주체별로는 가계 주택대출이 -31, 신용대출 등 일반대출 -22로, 2분기 각각 -11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태도강화 현상이 뚜렷하다.

한은은 “DSR 3단계 규제가 7월부터 도입되는 데다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이 추가 시행되면서 은행권 가계 주택관련 대출, 신용대출 모두 태도가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6 23:18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