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건설사 지난해 산업재해 1천868명…사망자 25%↑"
사망은 대우건설, 부상자는 삼성물산이 가장 많아
오예진
입력 : 2025.02.02 07:05:00
입력 : 2025.02.02 07:05:00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지난해 시공능력 상위 20위 건설사의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다치거나 숨진 사람은 1천800여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전년보다 2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의 시공 능력 평가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건설 현장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총 1천868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정부 건설공사 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 또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수와 1천만원 이상 재산피해 사고 건수를 집계한 자료로, 시공사 등은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CSI에 신고해야 한다.
지난해 사상자는 전년(2천259명)보다는 17.3% 줄었지만 2년 전인 2022년(1천666명)과 비교하면 12.1% 늘었다.
사망자는 35명으로 전년(25명)보다 25.0% 증가했다.
부상자는 전년(2천231명)보다 17.8% 감소한 1천833명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중 지난해 현장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대우건설로 모두 7명이 숨졌다.
GS건설과 포스코이앤씨(각 5명), 현대건설(3명)이 뒤를 이었다.
사망 사고가 없었던 곳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 호반건설, DL건설, 중흥토건 네 곳이었다.
다만 삼성물산은 다친 사람이 모두 273명으로 부상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DL건설(172명), 현대건설·SK에코플랜트(각 141명), 현대엔지니어링(137명), 계룡건설(112명) 등의 순이었다.
이를 포함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총 96명, 부상자는 5천697명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삼성물산(682명)과 현대건설(349명)은 사상자 수 기준으로 매년 나란히 1위와 2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공사 현장에서 1천만원 이상 사고 피해가 발생한 곳은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SK에코플랜트, DL건설, 서희건설 8곳이었다.
박용갑 의원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 현장 사상자 수는 전혀 줄고 있지 않다"면서 "시행 3년이 지난 지금 처벌이 아닌 예방 위주로의 법 개정 논의와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 및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ohyes@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태광 이호진, 누나에 '차명유산 소송' 150억 승소 확정
-
2
월 15만원 '농촌기본소득'에도 연천 청산면 인구 2년째 감소
-
3
양평 '세미원' 대표이사 공모에 6명 지원…군의회 첫 인사청문회
-
4
빌 게이츠 "실리콘밸리 중도좌파라 생각…우파그룹에 놀랐다"
-
5
HDC현산, 학동참사 항소심 총력전…행정처분 의식 행보 주목
-
6
작년 GDP 일·대만 가뿐히 제쳤다...“계엄만 아니었더라면”
-
7
올해 가장 큰 '파괴적 변화' 맞을 산업은 車…"AI, 경영 긍정적"
-
8
엇갈리는 주택시장 전세가율…아파트 오르고, 빌라는 떨어지고
-
9
KT, AI 인재 키우는 '디지털 인재 장학생' 모집
-
10
LGU+ "멤버십 '유플투쁠' 혜택 누적 참여 800만건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