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해도 발사비용 스페이스X 8배…차세대발사체 재사용 속내는

경제성·목표 미달 우려·지재권 갈등 해결 위해 사업 개편할 듯
조승한

입력 : 2025.02.02 07:00:05


누리호 발사(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우주항공청이 차세대발사체 재사용화를 공식화하며 이르면 내달 말 국가우주위원회에서 공개될 사업 변화 방향을 두고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계에서는 목표 미달 우려와 낮은 경제성, 지식재산권 갈등 등 차세대발사체를 둘러싼 우려를 일거에 해소하기 위해 우주청이 사업 개편을 활용할 것이란 관측이 이어져 왔다.

2일 우주청 등에 따르면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단은 시스템설계검토회의(SDR)를 진행 중으로 이를 통해 발사체 제원과 사업 방향 등을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SDR은 설정한 목표를 토대로 엔진 등 발사체 제원을 결정하는 단계로 사실상 발사체가 어떤 형태로 개발될지 결정하는 최종 단계다.

차세대발사체 사업은 2조132억원을 들여 누리호 3배 이상 성능을 내는 발사체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1단에 100t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5기를 클러스터링하는 등 개발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당초 일회용으로 개발되고 재사용 기술을 일부 함께 개발하는 게 목표였지만, 우주청이 올해 주요 업무계획으로 재사용화를 천명하면서 사업도 전면 개편될 전망이다.

이런 전환 배경에는 최근 우주발사체 시장이 스페이스X를 중심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발사체 비용 감소의 핵심인 재사용 기술이 대세가 된 만큼 이를 도입하지 않으면 개발에 의미가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발사체 정지궤도 위성 발사비용 추정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실제로 예타 보고서에 따르면 차세대발사체를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해 고도 3만6천㎞ 정지궤도에 위성 1t을 올려놓는다고 가정했을 때 추정되는 발사비용은 ㎏당 1억2천540만원(약 8만6천186달러)이고, 2032년 3호기부터 매년 4기를 쏘아 올린다고 해도 비용은 ㎏당 8천220만원(약 5만6천494달러) 수준에 머무른다.

스페이스X의 팰컨9이 정지궤도에 보내는 비용이 ㎏당 7천달러 수준으로 추산되는 것을 감안하면 8배 수준인 만큼 사실상 경제성이 없는 셈이다.

여기에 우주청이 2030년대 중반 저궤도에 1㎏당 1천달러 수송비용을 목표로 내걸었는데, 통상 정지궤도 발사 비용이 많게는 저궤도 3배 수준임을 감안하면 차세대발사체는 2032년에도 1만 달러 이상의 고비용이 든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 때문에 일각에서는 2032년 달 착륙선 발사를 목표로 하는 대신 특정 수송비용을 목표로 다시 제시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김승조 서울대 명예교수(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는 "나로호와 누리호를 거쳐 자체 발사체라는 국민 바람은 만족했다고 보고 이제는 경쟁력 있는 발사체를 만들 때"라며 "우주 경제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발사 비용인 만큼 국내 발사체로 우주 경제를 이룩하려면 비용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2년 기준 외국 발사체의 평균 발사비용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여기에 기존 제원으로는 달 착륙선 발사 수송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내부 검토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어차피 제원을 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아예 재사용으로 전환하는 방향을 우주청이 택한 것 아니냔 전망이 제기된다.

또 차세대발사체 지재권을 놓고 갈등 중인 항우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간 갈등 해소에 사업 개편을 통한 계약 조정 등이 한 방편이 될 거란 시각도 있다.

우주청도 차세대발사체가 현재 사업계획을 그대로 끌고 가기는 어렵다는 내부 검토를 토대로 사업을 개편할 방법을 논의 중인 상황으로 알려졌다.

우주분야 한 관계자는 "사업을 개편하려면 예타 적정성 재검토가 필요하고, 우주위에서도 관련 의결을 거쳐야 하는 등 여러 단계별 문제를 해소해야 해 우주청에서도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shj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2 10:53 더보기 >